이성계의 강씨 vs 이방원의 민씨 대결 본격화(‘태종 이방원’)

[엔터미디어=정덕현] 드디어 조선왕조가 열렸다. 끝내 왕위에 대해 거부하던 이성계(김영철)는 정도전을 비롯한 신하들의 요구에 드디어 왕좌에 올랐다. 하지만 조선왕조의 대업을 이룬 그 순간부터 또 다른 갈등이 시작됐다. 부하들을 시켜 정몽주(최종환)를 선죽교 위에서 때려죽인 이방원(주상욱)을 이성계는 결코 용서하려 하지 않았고, 자신이 낳은 아들 이방석(김진성)을 세자로 앉힌 강씨(예지원)에 의해 한씨(예수정)의 아들들인 이방원, 이방과(김명수), 이방의(홍경인), 이방간(조순창) 사이에도 골이 생겼기 때문이다.

KBS 대하드라마 <태종 이방원>은 고려 말 조선을 건국해가는 그 과정에서도 이성계와 이방원의 뒤편에서 어떤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로 강씨와 민씨(박진희)를 그리고 있다. 예를 들어 이방원이 어머니인 한씨와 계비인 강씨 그리고 식솔들과 함께 고려군의 추격에 의해 죽을 위험에 몰렸을 때 적을 향해 칼을 들고 뛰어든 인물은 바로 강씨였다. 또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가 조정을 장악했을 때, 자신에게는 아무런 역할을 주지 않는다며 낙담하고 있는 이방원에게 기회가 올 것이라며 “이제부터는 칼로 적을 베는 것이 아니라 붓으로 베어야 하는 시국”이라고 말한 인물은 다름 아닌 이방원의 처 민씨였다.

강씨와 민씨는 각각 이성계와 이방원이 그 조선 건국 과정의 혼돈기에서 정신적으로 괴로워할 때 이를 위로해주면서 동시에 어떤 결단을 내리게 만드는 인물들로 그려진다. 이방원이 섣불리 공양왕(박형준)을 겁박해 이색과 변안열을 유배 보내라고 하고 신우와 신창의 목을 베라는 말까지 했다는 얘기를 들은 민씨는 그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그에게 이건 가문이 함께 나가야 하는 대업으로 그렇게 혼자 나설 일이 아니라고 말한다. 민씨가 갖고 있는 현실 인식이 얼마나 날카로웠던가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결국 이성계가 끝까지 건드리지 말라 명했던 정몽주를 이방원이 사주해 때려죽이자 상심에 빠진 이성계에게 이제 죽은 사람은 잊어버리라며 위로와 조언을 아끼지 않은 인물은 강씨다. 즉 <태종 이방원>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 이성계와 이방원이 각각 했던 역사적 사건들을 그리면서도 그 이면에 존재한 아내들의 영향력과 존재감을 빼놓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제 조선왕조가 열리면서 이러한 야망이 남다른 아내들 사이에서 전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이성계의 후계 구도를 두고 갈등의 골이 생기기 시작한 것. 조선 초대 왕비가 되는 강씨는 자신의 아들 방석을 세자로 앉혔고, 이성계는 이방원을 포함한 한씨의 아들들과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궁궐에도 들이지 못하게 한 것이다. 이를 두고 민씨는 분노했는데, 그것은 과거 사실상 정몽주를 죽이는 일에 모두가 찬성했지만, 그 일을 결행한 이방원을 이성계가 미워하게 되자 그 마음을 되돌려 주겠다 약속했던 강씨가 이를 의도적으로 저버리고 있다 여겨져서다.

강씨와 민씨의 존재감이 두드러지게 그려진 <태종 이방원>은 그래서 이들에 의해 만들어진 갈등이 향후 왕자의 난으로까지 이어지는 도화선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물론 이러한 관점은 역사의 이면에 있던 여성들의 역할을 끄집어낸다는 점에서 현재적으로 의미를 갖는 일이지만, 이렇게 전면에 이들이 등장하면서 오히려 이성계나 이방원의 존재감은 다소 약해진 느낌을 준다.

이같은 새로운 관점의 선택은 보는 이에 따라 <태종 이방원>에 대한 호불호가 나뉘는 이유가 된다. 역사 속 여성들을 좀 더 주목시킨다는 관점에서 공감을 일으키면서도, 동시에 과거 <용의 눈물> 등을 통해 봤던 이성계나 이방원과 비교해 약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강씨나 민씨의 존재감은 이제 조선왕조가 열린 시점에서 본격화될 후계구도 속에서 더욱 커질 전망이다. 새로운 관점이 주는 참신함과 더불어, 본래 그리려는 이방원의 무게감을 잃지 않는 균형 감각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