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 한계 분명해도 진짜 역사의 진실 챙긴 ‘태종 이방원’

[엔터미디어=정덕현] KBS 대하사극 <태종 이방원>이 그리는 이방원(주상욱)은 어딘가 약하게 느껴진다. 제목은 <태종 이방원>이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야심가이자 목적을 위해서는 방법을 가리지 않는 그런 모습과는 다르다. 또 애초부터 강력한 카리스마를 보이는 그런 인물이 아니라, 점점 갈수록 그렇게 변해가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어찌 보면 이것이 당연한 전개일 수 있다. 우리에게 이방원은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쳐죽이고 형제들마저 죽인 후 왕위에 오르는 비정한 역사적 인물로 기억되어 있다. 그래서 그를 소재로 하는 사극들도 그의 비범함을 극화했던 게 사실이다. 예를 들어 <육룡이 나르샤> 같은 퓨전사극에서 이방원(유아인)의 모습을 떠올려 보라. <태종 이방원>의 이방원과는 사뭇 다른 강렬한 인상이 느껴질 수밖에 없다.

이방원이 이성계와 그 측근들은 물론이고 가족들도 모르게 공양왕(박형준)을 겁박해 그를 따르던 이색(남명렬)과 변안열(임병기)을 파직시키고 폐서인된 신우와 신창(우왕과 창왕)을 참형하게 만든 사건은 그가 가진 정치인으로서의 약점을 드러낸다. 이성계를 왕위에 올려 새로운 왕조를 열고픈 야망에서 비롯된 처사지만, 그 성급함은 오히려 이성계가 민심을 잃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방원은 또한 사실상 역적이 되어버린 상황 속에서 잘못 엇나갔을 때 온 가족이 도륙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드러낸다. 그 두려움은 그를 앞뒤 재지 않고 행동하게 만드는 동력이 되지만 그것 역시 약점이다. 그런 이방원의 약점을 채워주는 인물은 그의 아내인 민씨(박진희)다. 그는 두려워하는 이방원을 걱정 말라 위로해주고, 그가 신우와 신창까지 참형하게 만든 사건을 알아차리고는 “잘못된 처사”라며 대업에 홀로 앞서나가려는 그를 저지하려 한다.

결국 이 일로 이방원은 ‘효’보다 ‘충’을 더 생각하는 형 방우(엄효섭)와 칼부림까지 하게 되고, 이 일을 알게 된 이성계는 자신 때문에 가족들이 모두 망가지고 있다며 모든 걸 포기하고 동북면으로 가겠다고 선언한다. 결국 방우와 방원이 나서 이성계를 막으려 하지만, 이성계는 마치 앞으로 벌어질 일을 예언이라도 하듯 이렇게 말한다.

“내가 여기서 멈추는 것이 너희들에게도 좋을 것이다. 늘 우애가 있던 형제들이 어느 날부턴가 언성을 높이고 멱살을 잡았다. 그러다가 이제는 칼을 뽑아 들고 싸우기에 이르렀다. 허면 이 다음에 도사리고 있는 것이 무엇이겠느냐. 바로 형이 아우를 죽이고 아우가 형을 찌르는 지옥이 펼쳐지는 것이다.” 향후 이방원의 정권을 차지하기 위해 저지를 왕자의 난을 예고하는 듯한 이 말에 방원과 방우는 모두 펄쩍 뛰지만, 이성계는 “아마 권력이 그리 만들 것”이라 단언한다.

이방원이 주인공이긴 하지만, 정통사극을 지향하고 있는 <태종 이방원>은 다른 퓨전사극처럼 그를 극적으로 미화하기만 할 수는 없다. 그가 가진 인간적인 약점들도 사료에 있는 그대로 꺼내 보여야 하고 일련의 잔혹한 선택들도 보여줘야 한다. 그러면서 무엇이 그를 그토록 끝까지 몰아 붙였는지에 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하는 해석과 관점을 이방원이라는 인물의 변화 속에 담아야 한다.

그러니 <태종 이방원>이 보다 강렬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서 그려진 퓨전사극 속 이방원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어딘가 밋밋하게도 느껴지고 때론 공감하기 어려운 선택들을 보며 인간적 거리감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이것은 아마도 역시 드라마일 수밖에 없는 정통사극의 한계다. 하지만 퓨전사극의 자극적인 맛으로 인해 본래 역사 속 인물을 너무 극적인 과장으로만 떠올리는 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퓨전사극이 잘못됐다는 게 아니라, 그 상상력이 더해진 사극의 즐거움과 더불어 진짜 역사의 진실 또한 챙겨야 한다는 뜻이다. <태종 이방원> 같은 다소 밋밋한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는 정통사극의 존재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