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미디어 박재찬 기자] 한국은행이 28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연 0.5%로 인하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국내경제 타격의 심각성을 증명했다.
기준금리 인하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번째고, 총 0.75%포인트를 내렸다.
한은의 이번 금리인하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타격이 예상보다 크고 심각하기 때문이다.
금통위는 지난 3월 16일 당시 연 1.25%의 기준금리를 0.75%로 인하하며 ‘빅컷’을 단행했다.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0%대 기준금리’ 시대가 열린지 불과 2개월 만에 추가 인하다.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을 통해 금통위는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국내경제 성장세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경제 성장세가 크게 둔화돼 소비가 부진하고 수출도 큰 폭 감소한 가운데 설비투자 회복이 제약되고 건설투자 조정이 이어졌다”며 고용 상황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수 감소폭이 크게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이 수출, 성장률 등 경제 지표들에서 확인되면서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 전 이미 학계·연구기관·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했고, 채권시장에서도 추가 기준금리 인하를 시간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한은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낮췄다. 또 환매조건부채권(RP) 무제한 매입 등 이른바 ‘한국판 양적 완화’에 나서고 있고,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저신용 등급을 포함한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을 사들이는 기구(SPV)에도 8조원을 대출하는 등 유동성 공급을 위한 거의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는 것이다.
그동안 금리인하에 대해 ‘신중론’을 유지해온 한은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타격으로 금리인하와 유동성 공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