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한도전>, 어떻게 예능의 한계를 넘어섰나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권오중이 정말 F2에 꼽힐 만한 외모일까? 아니, 그가 못친소 페스티발에 참여하게 된 게 실제 외모 때문일까? 전혀 그렇지 않다. <놀러와>에서 활약을 눈여겨본 유재석이 없었다면 가당치도 않은 일이다. <무도>는 일종의 ‘클랜(clan)’으로 진화하고 있는 공동체다. 기존의 일곱 멤버와 김태호 PD로 대표되는 제작진은 그 안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영역을 계속해서 확장한다. 그 안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주변의 누군가를 끌어주고 또 도움을 받는다.

못친소 페스티벌은 이런 <무도>의 외연을 확장하는 또 하나의 장이였다. ‘처진 달팽이’에서 맹꽁이 캐릭터를 추가한 이적이나 데프콘처럼 심심치 않게 얼굴을 내비쳤던 이들은 이제 객원 멤버 수준의 친밀감을 보여주고, 그 외에 김제동, 김영철, 윤종신, 김범수 등 프로그램 내에서 이름만 주로 언급되었던 이들을 등장시켰다. 또 고창석, 김C, 조정치, 하림 등 새로운 인물들이 매력을 발산하도록 기회를 주는 동시에 무도의 식구로 초대한 일석이조의 행사였다.

그런데 <무도>는 식구를 맞이하는 방식에 있어 여타 프로그램과는 다른 세련됨을 추구한다. 타 방송사처럼 게스트를 일회적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매년 거행되는 가요제들이나 달력 촬영은 물론이고 기회가 될 때마다 초대한 손님에게 지속가능한 캐릭터를 만들어주려고 노력한다. 그런 과정에서 예능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들의 이미지를 예능화한다. 장윤주, 정재형, 이적 그리고 이번의 조정치까지 그런 경로를 걷거나 걸을 가능성이 보인다.

이번 못친소 페스티발의 경우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그저 신치림의 기타리스트나 정인의 남자친구로만 소개되는 조정치를 웃음 폭탄으로 만들었다. 조정치의 새초롬한 태도에서 웃음의 가능성을 발견하자마자 그 위주로 방송을 이끌어 갔다. 림보 앞에서 웃음을 터트릴 수 있게 하고, 고창석에게 한 키스를 박력 넘치게 포인트를 집어주는 식이다. 최종투표 결과가 나름 충격적이지 않았다면 가히 조정치 특집으로 남을 만한 방송이었다. 방송 말미에 박명수가 조정치에게 장난으로 “방송에 재미들이었나 보네” 식의 멘트를 날리는 건 이미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뮤지션으로만 알았던 정재형을 생각해보라. <무도>가 즐거운 축제인 이유, 모두가 좋아할 수밖에 없는 커뮤니티인 이유는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조정치와 함께 김치 듀오이자 자양강장제 콤비로 활약한 김C의 경우 또한 <무도>의 세련된 응대법이 빛나는 좋은 예다. 김C가 독일로 유학을 떠나기 전 그는 또 하나의 거대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의 멤버로 활약했던 반은 예능인이었다. 그런데 그가 예능에서 구가한 이미지는 엉뚱함과 진지함이었다. 그가 가진 캐릭터는 ‘다큐’였다. 그의 주된 효용은 웃음이 아니라 인간미 물씬 풍기는 <1박2일>이란 프로그램에 감성적인 부분을 책임지는 데 있었다.



그런 그를 <무도> 제작진은 기침 하나로도 빵빵 터트리는 웃음 폭탄으로 만들었다. 물론 그가 베를린에서 뭔가를 배워온 것은 아니었다. 그는 예전과 마찬가지로 가만히 있었다. 하지만 편집과정에서 그의 무표정한 리액션과 그에 대비되는 자막을 입히면서 시청자들의 배꼽을 앗아갔다. 김C가 치킨을 먹는 장면에 인간극장풍의 연출이나 춤 출 때 마음만은 팝핀 대부라는 자막을 입히며 별도의 후가공을 가함으로써 김C의 ‘난민간지’ 캐릭터에 웃음을 불어넣었다. 그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웃음을 자아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무도> 제작진에 대해 한 가지 더 짚어볼 지점이 있다. 오늘날 PD들은 자기 프로그램 홍보나 본인 홍보에 매우 적극적이다. 본격적으로 PD들이 자신의 프로그램에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김태호 PD가 스타가 되고 나서부터다. 하지만 정작 김태호 PD는 가능하면 화면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 그의 영역은 방송과 일상의 연계 지점이다. 그는 소위 말하는 파워 트리터리안으로서 방송을 통해 얻은 시청자들의 믿음과 애정을 멤버들의 결속은 물론, 방송에 참여했던 게스트들을 응원하는 것으로 활용한다. 이렇게 힘을 실어주면서 자신의 지분을 굳이 방송에 구겨 넣지 않고서도 모두에게 이로운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런 제작진과 유재석 등의 능력 있는 멤버들이 <무도>라는 공동체를 만들어냈다. 못친소 페스티발을 <무도>만이 가능한 행사고 <무도>이기에 커질 수 있었던 웃음인 이유다. 세련된 방식으로 함께할 수 있는 문을 열어놓고 또 이를 통해 <무도> 자체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확장한다. 모두가 즐거운 월드, <무한도전>의 세계가 예능계의 준거집단인 이유다. 모델이자 방송인이 된 장윤주의 말처럼 <무한도전>은 가장 따뜻한 커뮤니티다. 적어도 예능의 세계 안에서는 그렇다. 어떤 게스트가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는 것은 가족임을 증명하는 의식이며 과거에도 미래에도 함께한다는 선언이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이 선망하는 그 가족주의는 예능 프로그램이란 한계를 넘어선 지금의 <무도>라는 브랜드를 낳게 했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