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터미디어 김소영 기자] 쿠팡이 증인으로 참석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CJ대한통운 등 택배회사에 대한 성토가 나왔다.
엄성환 쿠팡풀필먼트서비스(CFS) 전무는 26일 환노위 국감에서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택배 노동자 관련 질문에 답변했다.
임 의원은 “대한통운을 포함해 택배 노동자 6명이 사망한 상황에서 쿠팡만 증인으로 참여했다”는 말로 질의응답 시간을 시작했다.

엄 전무는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다 사망한 택배 노동자들에 대한 산업재해 보험 적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쿠팡은 전 직원을 직고용하고 있으며 모두 산재 보험에 가입시키고 있다”고 답했다.
쿠팡은 로켓배송 서비스를 담당하는 배송직원인 ‘쿠친(쿠팡친구)’를 직고용하는 기업이다. 쿠팡은 지난 22일 입장문을 통해서도 쿠친이 ‘지입제 택배기사’와 다르다고 밝힌 바 있다. 지입제 택배기사는 대리점을 가운데 끼고 택배 기업과 위탁계약을 맺는 노동자를 말한다.
쿠팡이 입장문을 발표한 날은 CJ대한통운이 잇따른 택배 노동자 과로사 사고에 대해 사과한 날이기도 하다. CJ대한통은 사과와 함께 분류지원인력 4000명 투입과 모든 택배 노동자의 산재보험 가입 추진이 큰 틀인 재발 방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노조 측은 대리점을 통해 택배 노동자에게 비용 전가 등을 우려한다.
임 의원은 택배 노동 시장에서 선도적인 체제를 운영하는 쿠팡의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임 의원은 “대한통운은 사과와 함께 앞으로 실질적인 운영 체계를 변화시키겠다는 대책을 내놓았지만 쿠팡 운영 체계에 못 미치는 게 사실이다”면서 “쿠팡이 비교 우위를 내세울 게 아니라 책임을 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임 의원은 지난 12일 사망한 쿠팡 칠곡물류센터에서 사망한 택배 노동자 장모(27)씨의 유가족을 만날 의향이 있는지를 엄 전무에게 물었다. 엄 전무는 “아직 만나지 않았지만 언제든 만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장 씨는 경북 칠곡군 쿠팡물류센터에서 1년 4개월 가까이 야간분류작업을 하다 숨졌다. 야간 택배 분류 작업은 물류센터 업부 중에서도 노동 강도가 가장 높다고 알려진다. 장 씨 유가족과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사망 원인을 과로사라고 주장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은미 정의당 의원은 장씨 유족의 증언과 근로복지공단의 지침 등을 통해 장씨가 지난 8월과 9월의 경우 각 주 70.4시간, 69.4시간 근무했다고 지적한다. 이는 주 5일 근무, 주 50시간 미만 근무 원칙을 준수한다는 쿠팡의 입장과 배치된다.
쿠팡은 유가족과 대책위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쿠팡은 보도자료를 통해 장씨의 지난 3개월간 평균 근무시간이 주 44시간이었다고 반박한다. 또 인력 부족이 과로로 이어졌다는 대책위의 주장에 대해 “올해 국민연금 가입자 기준으로 1만2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했다”며 “이는 올해 상반기 국내 500대 기업에서 사라진 일자리와 맞먹는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