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싹수 보인 <예체능>, 성공 위한 전제조건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우리동네 예체능>은 강호동이 진행하는 프로그램 가운데 가장 강호동스럽지 않다. 그가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비중을 할 수 있는 만큼 줄여서 그렇다. 그는 여전히 박수를 유도하고 가장 크게 웃으며 에너지를 발산하지만 그것은 하나의 장치에 가까울 뿐 강호동은 주인공이 아니다. <우리동네 예체능>은 <강심장><스타킹><1박2일>처럼 다수의 패널과 출연자를 아우르는 강호동의 에너지로 흘러가는 쇼와는 전혀 다르다.

야심차게 준비한 <달빛 프린스>도 그렇고 <우리동네 예체능>을 보면 공백을 깨고 복귀한 강호동과 그를 다시 선장으로 승선시킨 제작진은 강호동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새로운 예능 형식을 강호동과 만들어내고 싶었던 것 같다. 강호동에 대한 시청자들의 기대와 익숙함 등을 가져가 돼, 새로운 모습을 통해서 11시대 예능이라고 토크쇼의 변형에 머무는 뻔한 예능을 탈피하고 싶었던 모양이다.

<달빛 프린스>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난 이러한 욕심 혹은 야심은 ‘근육은 키우면서 살을 빼고 싶어요’와 같은 말처럼 들렸다. 사람들에게 사랑받아왔던 장점들은 접어두고 전혀 다른 모습으로 어필했다. 폐지하기 전까지 매회 조금 조금씩 설정이 바뀌었으니 어떤 먹힐만한 장치나 확실한 무기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사람들이 ‘강호동’이라고 이름 석 자를 말하면 다들 반가워하고 기대할 것이라 짐작한 것이 화근이었다. 시청자들이 <우리동네 예체능> 1회에서 전화 연결된 중국집 아주머니처럼 시크하게 받아들일 줄은 몰랐던 것이다.

그래서 방향을 선회했다. 강호동을 가장 강호동스럽게 보일 수 있으면서 그를 가장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에너지를 맘껏 발산할 수 있는 승부욕과 화이팅이 필요한 스포츠 게임을 일반인들과 함께하는 것. 일반인과 맞대결 형식의 경기는 웃음과 감동의 콤비네이션을 사랑하는 강호동이 가장 좋아하는 장면들을 만들 수 있는 최적의 재료다. 게다가 멤버도 그가 가장 선호하는 강호동을 중심으로 위계질서가 잡힌 서열화된 구성을 했다. 탁재훈과 같이 강호동이 다소 절절 매는 상대가 아니라 조달환처럼 편하게 연예인도 모르는 연예인을 ‘국민배우’라고 치켜세울 수 있고, 이수근과 박성호처럼 형 동생 관계로 티격태격할 수 있는 조합을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시작된 <우리 동네 예체능>은 토크쇼 베이스의 스튜디오 예능과 다른 볼거리와 신선함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따뜻했다. 인기 있는 프로스포츠가 아닌 생활 체육과 미국의 힙합 가수들 외에는 요즘 아무도 외치지 않는 ‘우리 동네’라는 정감 어린 단어가 만나니, 뒤돌아보고 들여다보고 재미를 찾는 또 하나의 쉼표가 됐다. 화요일 11시대 예능에서도 <1박 2일>의 ‘정’, <무한도전>의 ‘패밀리십’, 요즘 유행처럼 생겨나는 다큐화된 예능의 ‘일상’과 같은 고유의 정서를 갖춘 예능 프로그램의 떡잎이 꽤나 푸르게 보인다.

서두에 주인공이 강호동이 아니라고 한 것은, 따뜻함의 근원이자 <출발 드림팀>과의 차이이기도 하다. 제목 자체가 ‘우리 동네’ 예체능인만큼 일반인에 대한 대접이 남다른 것이 특징이다. 그들은 강호동 팀의 상대편이 아니다. 홈팀과 원정팀의 구분이 없다. 상도동 탁구 동호회 선수들의 일상을 스케치해서 보여주고, 작전타임 시간 분배도 그렇고, 강호동 팀 연예인들의 응원전과 관중석에서 응원하는 상도동 동호회 가족들의 모습을 교차로 비춰준다. 올림픽처럼 무엇을 위한 승부는 아닐지라도 부담스런 비장미를 덜어낸 ‘최선’의 감동이 있다. 그러니 예능이라고 몸개그를 할 수가 없다. 82세 할머니부터 12살 초등학생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선수, 즉 다양한 인생이 최선을 다해서 나서기 때문에 모두가 진지하게 경기에 임한다. 배경 음악도 자제하고 강호동은 재차 이수근에게 웃음기 없는 승부를 주문한다. 따뜻함, 긴장감, 더 나아가 감동은 바로 여기서 오는 것이다.



<1박2일>의 족구게임도 재밌는 것처럼 아마추어들의 잔치라고 해도 시합 구경은 보는 이들에게 재미를 선사한다. 조기 축구회를 비롯한 각종 경기도 수준을 떠나서 보고 있으면 재밌다. 방송 당일 절대 빠져나오지 못할 것 같은 연패의 늪을 탈출한 한화 이글스처럼 스포츠란 언제나 어떤 상황에서 반전과 감동의 드라마를 만들어낼 여지가 있다. 스포츠 경기를 극본 없는 드라마라고 하는 이유다.

물론 아직까지 <우리동네 예체능>이 확실하게 안착했다고 할 수는 없다. 아예 쿨하게 경기만 중계해주는 것과 예능 장치를 얼마나 섞느냐는 지점에서 아직 빈 공간이 보인다. 강호동을 최대한 줄이고, 일반인의 비중을 키웠지만 2주 방영 분량을 놓고 볼 때, 실제로 경기 중계가 차지하는 부분은 그리 많지 않다. 각본 없는 드라마가 꼭 재밌어지라는 법은 없어서 이번처럼 다소 싱겁게 승부가 날 수도 있다.

그러니 경기에 몰입하게 만드는 사전 드라마나 장치를 더 계발할 것인지, 경기 중계를 더 박진감 있게 할지 선택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물론, 비중은 왜 이 경기를 손에 땀을 쥐고 봐야하는지 설득하고 몰입하게 만드는 것에 둬야 할 것이다. 일본 스포츠 만화들의 특기처럼 경기에 감정이입을 하게 만드는 드라마와 예능적 장치가 조금만 더 설득력을 가진다면 강호동이 새롭게 선보인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 흥미진진하게 지켜볼 재밌는 쇼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