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100만원, 현실과 달라 결국 택배기사 부담" 반발 여전

[엔터미디어 김소영 기자] CJ대한통운이 현장에 분류지원인력을 투입하는 비용의 절반을 대리점에 떠넘겼다는 주장이 나오는 등 택배노동자 과로사 문제 해결이 여전한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조는 결국 택배 노동자에게 비용이 전가된다는 우려를 반복한다. 대리점에선 아직 정확한 결정이 나오지 않았다고 말한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이 분류작업과 인력투입 비용을 대리점과 택배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대책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최근 지역별 대리점에 ‘본사가 추가비용 50%를 지원할테니 나머지 50%는 대리점 내에서 협의해 진행하라’고 통보했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가 5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이 분류작업 인력투입 비용을 대리점과 택배노동자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하고 있다며 규탄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가 5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J대한통운이 분류작업 인력투입 비용을 대리점과 택배노동자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하고 있다며 규탄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대책위는 “신고센터를 통해 들어온 내용을 살펴보면 경기도 A대리점의 경우, 본사는 50%, 대리점 30%, 택배기사 20%로 통보하고, 인력투입 비용이 1인당 100만원이 초과해도 50만원만 지급하겠다고 했다”며 “B대리점의 경우는 더욱 심각해 아예 본사 50%를 제외하고 나머지 50%를 택배기사에게 전가시키겠다고 이야기한 소장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는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가 지난달 22일 과로사로 추정되는 잇따른 택배노동자의 사망 사고에 사과하고 재발 방지책 중 하나로 분류지원인력을 투입하겠다고 밝힌 뒤 제기된 CJ대한통운노조 측 예상과 일치한다. 

CJ대한통운노조 소속인 박성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 택배지부 지부장 또한 “본사가 대리점 소장들을 불러 분류지원 인건비를 100만원으로 책정해서 50만원을 지원해주겠다고 통보했다는 사실을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지부장은 본사가 100만원으로 정한 지원금이 현실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예컨대 서초 지역의 한 직업소개소를 방문해 인건비를 알아보니 분류작업을 지원하는 노동자가 아침 7~11시 근무할 경우, 한 달에 약 130만~140만원이 든다는 것이다. 이 경우, 본사가 지원금을 50만원으로 고정한다면 서초지역 대리점은 50만원이 아닌 80만~90만원 정도를 부담해야 한다. 박 지부장은 수입이 낮은 대리점은 결국 이 비용을 택배 기사에게 전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서초의 한 직업소개소에 문의한 결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하루 오전 4시간을 택배 물품을 분류하는 일을 할 경우, 남성 노동자는 시급으로 2만원, 하루 총 8만원을 줘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이달에 적용할 경우, 인당 월급은 168만원이다. 직업소개소 측이 적다고 말한 시급 1만5000원을 적용한다면 월급은 126만원이다.

하지만 서울 소재 대리점들은 대책위와 노조 측의 주장을 부인한다.

서울의 한 CJ대한통운 대리점 관계자는 “(분류작업 지원을 위한 인건비가) 결정된 건 아니고 얘기만 나온 거 같다”며 “중요한 건 본사가 100% 지원하느냐 50%만 부담하느냐인데 50%만 지원할 경우 택배 기사들은 비용이 전가될 거라 생각해 반대가 심할 거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서울의 CJ대한통운 대리점 관계자는 “본사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며 “본사에서 해주는 건 아무 것도 없다”고 설명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달 사과문을 발표한 자리에서 분류지원인력 4000명을 11월부터 투입할 것이라 발표한 바 있지만, 아직 CJ대한통운 택배 분류 현장에는 지원 인력이 투입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