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가계대출 총량관리’ 압박 내년에도 이어질 것
내년 3월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 종료

[엔터미디어 박재찬 기자] 시중은행이 사면초가에 놓였다. 내년 초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압박에 따른 이지이익 감소와 함께 비이자이익 위축으로 이익 감소가 예상되고, 내년 3월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 종료에 따른 부실 대출 관리 등으로 시중은행의 내년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관리’ 압박에 시중은행들은 연말까지 대출 모집인을 통한 주택 담보대출, 전세 자금 대출 모집을 중단하고, 1억원이 넘는 신용대출을 취급하지 않기로 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사진제공=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에도 대출 급증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시중은행이 연말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에 울상이다.

올해 3분기 가계 대출 잔액은 821조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4% 증가했다. 이번 증가세는 2016년 4분기 이후 3년 9개월 만에 최대치다.

또 3분기 누적 이자이익은 30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0조6000억원 대비 1000억원이 증가했다. 사상 최저 금리에도 대출 총량이 급증하면서 이자 이익은 오히려 증가한 것이다.

이에 최근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총량관리’ 압박에 나섰고, 은행은 연말까지 대출을 중단했다.

금융감독원은 내년 1분기까지 가계 대출 추이를 주시하겠다는 입장이고, 금융위원회도 ‘가계 부채 선진화 방안’을 내년 1분기 중 내놓을 계획이다. 사실상 금융당국이 내년 1분기까지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을 압박하겠다는 의미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와 주식시장 활황,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금융당국의 규제가 고객 심리를 자극해 대출이 급증했다”며 “은행이 이익을 늘리려고 영업에 나서서 대출이 급증한 것은 아니다”라며 억울함을 토로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사진제공=연합뉴스

시중은행은 내년 이자이익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비이자이익에서도 뾰족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DLF 사태에 이어 올해 사모펀드 부실판매 사태까지 이어지면서 펀드 판매가 지난해 대비 절반 이상 위축됐고, 은행들도 펀드 판매 자체를 부담스러워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방카슈랑스 판매가 늘었지만, 이 또한 대부분 만기가 3년에서 5년인 단기 저축성보험으로 수수료가 낮아 은행 이익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중은행의 가장 큰 고민은 내년 3월 종료되는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원리금 상환 유예다. 금융위에 따르면 시중은행의 만기 연장 대출 규모는 77조7000억원이고, 건수로는 27만 5000건이다.

이에 시중은행들도 올해 상환 유예 대출의 부실을 대비해 막대한 금액의 대손충당금을 쌓아두는 등 만발의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자영업자, 중소기업의 대출 부실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 조차 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내년 은행권 최대 화두는 원리금 상환 납부 유예 종료 후 대출 부실 관리로 예상된다”며 “유예 초지가 추가로 연장될 수 있지만, 충당금을 계속 쌓아야 하는 은행 입장에서는 순이익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