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퀴즈’, 이들이 끔찍한 범죄를 보고 또 보는 까닭

[엔터미디어=정덕현] 조두순, 이춘재, 정남규, 유영철... 이름만 들어도 분노하게 되는 끔찍한 범죄자들을 마주한 채 면담하고, 살인 현장을 찾아 그 범인의 동기와 동선을 찾으려 범인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며, 심지어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범죄자와의 심리적 유대관계까지 갖는 범죄심리학자나 프로파일러들은 과연 어떤 사람들이고 또 어떤 마음을 갖고 그 일을 대할까.

tvN <유 퀴즈 온 더 블록>그것이 알고 싶다’ 2탄 특집으로 마련한 방송에는 범죄심리를 연구하는 이수정 교수, 국내 1호 여성 프로파일러인 인천지방경찰청 이진숙 경위 그리고 대한민국 최초 프로파일러 권일용 같은 분들을 초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보통 사람들이라면 상상하기도 싫은 연쇄살인범들과 마주하고 대화를 나누며 때론 함께 밥을 먹기도 해야 하는 그들이 범죄를 연구하는공통적인 이유는 그래야 범죄가 더 일어나는 걸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이수정 교수는 범죄심리학이 범죄자의 마음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며, 왜 그 마음을 연구하느냐는 질문에 “범죄자가 형이 만기 돼서 출소를 해도 사회로 돌아갔을 때 또 다시 재범을 할 거냐 안할 거냐는 전적으로 그 사람 마음에 달려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 마음을 연구 안하면 이 사람이 지역사회에서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

그는 조두순 출소에 대해서 당시의 피해자가 그 곳을 피해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는 사실을 이야기하며, 사법 정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단지 엄벌만 하는 게 정의가 아니고 피해자를 회복시키는 것이 사법 정의의 목표가 되어야 하지 않느냐는 것이 그것이었다. 그는 현재의 형사사법제가 무조건 범죄자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며,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 중심으로 되어야 하는 세상이 왔다고 강조했다.

이춘재나 고유정 같은 이들과의 면담을 해 자백을 받아내기도 했다는 국내 1호 여성 프로파일러인 이진숙 경위는 범죄자들과의 면담이 얼마나 쉽지 않은가를 실감할 수 있었다. 보통사람들이라면 그 범죄 과정들을 들으며 경악하거나 분노할 수밖에 없는 면담 과정에서 프로파일러들은 그 자백을 이끌어내기 위해 ‘라포르’라 불리는 범죄자들과의 친근한 유대관계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즉 그들 앞에서는 친밀하게 대화하면서, 그걸 통해 드러난 사건들을 처리할 때는 냉철하게 해야 하는 게 그들이 하는 일이었다.

국내 최초 프로파일러 권일용은 이 상황을 살인범과 마주해 함께 밥을 먹어야 했던 경험을 통해 토로했다. 그는 그 경험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 같았다며 “범죄자들은 범행을 저지르고 남을 해치기 위해 열심히 먹고 살고” 자신은 “범죄자들을 검거하기 위해 열심히 먹고 살아야 되는” 그런 극단의 상황에서 같이 밥을 먹는다는 것. 그 순간에 얼마나 많은 감정과 생각들이 교차됐을까.

2009년 강호순 체포 이후 연쇄살인범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서 권일용은 그것이 없어진 게 아니라 빨리 잡히는 것이라고 했다. 즉 범행 후 빨리 잡히기 때문에 연쇄살인이 이어지지 않는 것이지, 만일 늦게 잡혔다면 끔찍한 범행이 더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다. 빨리 잡히는 이유에 대해 권일용은 시민의식이 높아졌고 CCTV나 블랙박스 영상 등을 활용하면서 검거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라 했지만 범죄심리학자나 프로파일러들의 보이지 않는 노력 또한 그 이유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유 퀴즈 온 더 블록> ‘그것이 알고 싶다’ 2탄 특집이 특별하게 느껴진 건, 그런 남다른 사명감을 갖고 결코 쉽지 않은 일들을 마주하는 분들의 생생한 현장에서의 이야기와 더불어 그들 또한 한 사람으로서 갖는 복잡한 감정들과 고충들까지 담아냈다는 점이다. 드라마나 영화가 그려내듯 우리와는 다른 어떤 사람들이 아니라 우리와 다를 바 없는 분들의 위대한 헌신이 엿보였다. 모두가 고개를 돌릴 때 그 끔찍한 범죄를 마주하고 보고 또 보는 그런 분들의 헌신이 있어 그나마 우리의 안전이 담보되고 있는 게 아닐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