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연구개발 성과 공개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전경. 사진 제공=한미약품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전경. 사진 제공=한미약품

[엔터미디어 이진성 기자] 한미약품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예방부터 진단 그리고 치료에 이르는 전 주기 라인업을 개발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이날 온라인 개최 중인 제39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한미약품은 mRNA백신과 DNA백신 위수탁생산(CMO/CDMO)이 가능한 시설 기반의 다양한 역량을 갖추고 있고 글로벌 팬데믹 위기 극복에 기여하기 위해 여러 회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활짝 열어두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한미약품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람다카라기닌 주성분의 ‘한미 콜드마스크 비강스프레이’를 최근 출시한데 이어 코로나19와 독감을 동시 진단할 수 있는 키트 발매도 준비 중이다. 또 PIKfyve 억제제 신약합성화학물(NCEs)과 티모신(Thymosin α1) 호르몬을 이용한 코로나19 치료제의 전임상 후보물질도 도출했다.

권 사장은 또 한미약품의 주요 연구개발(R&D)성과를 공개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 혁신신약 등 염증-섬유화 치료제, 대사성질환 및 항암과 희귀질환 치료제 분야의 혁신을 토대로 글로벌 R&D 성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특히, 한미약품이 개발한 두 개의 신약은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된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와, 아테넥스에 라이선스 아웃된 전이성유방암 치료제 ‘오락솔’은 각각 FDA의 시판허가(BLA)와 우선심사(Priority Review) 결과 발표를 앞둔 상황이다.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면역항암, 염증과 섬유화, 신규 플랫폼, 희귀질환 분야의 개발 계획 등도 함께 내놨다. 오픈이노베이션은 업체, 대학, 연구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등 외부 전문가와 협업해 미래 기술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기술을 말한다.  

권 사장은 “한미약품은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극복 과제를 빠르게 진행해 인류의 생명존중이라는 제약기업 사명을 다하겠다”면서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가치 증대를 위한 임상 진행 가속화 등을 통해 한미약품 R&D에 대한 큰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