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시경, 야외 예능 재도전 한다면 하하와 함께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성시경은 테이블 앞에서 강한 사람이다. ‘말재간이 좋다’라고만 표현할 수 없는 설득력과 분위기가 함께 있다. KBS <해피선데이-1박2일>에서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한 것은 애당초 노지에서 고생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한 잘못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태도를 문제 삼는 비난은 대부분 방향이 어긋난 것이다. 생각해보라. 공중파 방송사의 간판 예능에 출연하면서 열심히 하지 않는 배짱 좋은 사람은 별로 없다. <1박2일>에서는 씁쓸함을 맛봤지만 최근 JTBC <마녀사냥>에서 조언자로서 잘나가는 것도, 오랫동안 라디오 DJ로 영역을 구축한 것도 하하의 말처럼 앉아서 하는 일에 강하기 때문이다.

울타리를 넓게 칠수록 그의 조곤조곤하면서도 달달한 목소리는 힘을 잃는다. 장소를 옮겨 다니면서 보다 큰 리액션과 에너지가 필요한 야외 예능에서 성시경이 할 수 있는 일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것이 그가 가진 특성이다. 예능이란 특수한 세계에서 장르에 따라 상성을 탈 수밖에 없는 스타일이다. 물론 생김새가 그러니 아예 도전 자체를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비슷한 성향의 장기를 가진 김구라도 MBC에서 다시 한 번 야외 예능에 도전한다. 누구나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싶은 욕망이 있다.

앉아서 하는 토크에 강한 성시경과 김구라의 공통점이 있다. 리액션이 다른 예능 선수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호들갑이 제1 덕목인 이곳에서 성시경은 온화함과 논리로, 김구라는 냉소와 비난으로 리액션을 대신한다. 웃음을 만들기 위해선 맥락이 필요하다는 또 다른 공통점도 있다. 이 두 가지는 서로 비슷한 말인데,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고 웃기는 게 아니라 최소한 자신의 캐릭터를 돋보이게 받쳐줄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도 이런 옵션사항들이 따라붙게 되면 활용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김구라는 그가 독설이나 날카로운 질문을 던질 대상이 있어야 빛이 나는 것처럼 성시경은 다른 사람들이 그의 캐릭터에 관심을 가질 때 날아다닐 수 있다. 이번 주 <해피투게더>에서는 성시경 옆에 하하가 있었다. 정작 하하는 그의 측근인 미노를 띄우는 게 주된 목적이었겠지만 모든 게 완벽하고, 인기 많은 동갑친구와 대비되는 모자란 콘셉트로 주고받은 성시경과 합이 방송 분량의 대부분을 채웠다. 하하는 “잘자요.”류의 멘트에 괴로워했고, 화장실 앞에서 여자 친구 가방을 들어주는 것이 아무 문제없다는 성시경에게 분노했다. 이런 하하가 호들갑을 떨 때마다 성시경은 “흥분하는 거는 유치한 거야.”라며 가르쳤다.



이런 상황을 하하는 이끌었다. 성시경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웃음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반복되는 상황을 만들었다. 어린아이같이 쉽게 흥분하는 캐릭터는 성시경의 차분함과 극명하게 대비되었고, 성시경은 그런 하하를 달래듯 놀리듯 톰과 제리 같은 상황을 이어갔다. 야간매점에 ‘잘자어’란 이름으로 중국식 생선찜을 들고 나왔을 때도 그랬다. 과자와 밥을 비비고, 명절 후 냉동실에 처박혀 있던 전에 치즈가 올라가고 번데기 통조림과 라면을 조합하는 이때, 성시경은 도미에 파채를 얹는 생선찜을 선보였다. 하하는 이건 야식이 아니라고 강력하게 반발하다가 맛있어서 더 분하다며 성시경의 ‘잘자어’를 추켜세웠다.

여기서 하하가 예능 선수라 불리는 이유를 찾아볼 수 있었다. 성시경이 <1박2일>에서 고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하는 스스로 웃음을 주는 경지를 넘어 주변을 둘러보고 다른 사람들을 돋보이게 만드는 무채 노릇을 톡톡히 했다. 별 것 아닌 것에도 크게 웃어주고 ‘남자들이 질투하는 성시경’처럼 꺼리를 하나 붙잡으면 물고 늘어질 줄 알았다. <1박2일> 시즌2에는 바로 이런 멤버가 없었다. 모두가 전부다 남들이 받혀주고 주목해줘야 웃음을 만들 수 있는 타동사와 같은 캐릭터였다. 그것이 시즌2와 데프콘이 있는 시즌3의 차이다.

사실 이번 주 <해피투게더>는 모처럼 기대를 했었다. 유재석, 박명수와 호흡이 좋은 하하에다가 <마녀사냥>에서 한창 주가를 올린 성시경, <1박2일>과 <우결>의 예능 대세 정준영, 하하와 데프콘 등이 마지막 남은 예능 원석이라고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미노가 함께했으니 기존 분위기를 벗어나 왁자지껄한 웃음이 나올 거라 예상했었다.



허나 역시나 에피소드 나열식 토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며 하나의 흐름으로 게스트들도, MC들도 유기적으로 엮이지 못했다. 웃음은 산발적이었고, 흐름은 덜컹거렸다. 정준영은 그의 똘끼 비슷한 것도 보여주지 못했고, 미노는 포텐셜을 터트릴 기회를 또다시 미룰 수밖에 없었다. 참고로 정범준 또한 단 한마디도 안 했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을 뻔 했던걸 하하가 그나마 살렸다. 성시경의 발라드왕자 캐릭터를 대비를 통해, 또 하하의 호들갑을 배경으로 웃음으로 연결시켰던 것이다.

요즘 대부분 예능에서 기존 선수가 아닌 신선한 얼굴을 찾는다. 하지만 주목을 해주고, 옆에서 긁어줘야지만 웃음을 만들 수 있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신선함을 좇다 간과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감초 역할을 할 수 있는 예능감과 유연한 자세를 가진 캐릭터의 존재다. 모두가 튀거나 특이하거나 신선할 필요가 없다. 예능에서도 구관이 명관인 이유가 있고, 강호동에게 여전히 기대를 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분위기를 띄울 줄 아는 능력을 가진 하하는 이 잔잔하고 잘잘한 토크쇼에서 성시경의 모든 멘트와 몸짓이 웃음이 되도록 받쳐주었다. 이런 게 바로 예능에서 잔뼈가 굵은 선수의 진면목이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MBC]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