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친자’의 웰메이드가 현 위기의 드라마업계에 전하는 메시지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있는 그대로 보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MBC 금토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에서 모든 사건이 마무리 된 후 구대홍(노재원)이 이어진(한예리)과 나누는 그 대화는 이 작품이 그 먼 길을 걸어 하고자 했던 이야기를 압축하는 느낌이다. 어딘가 평범하지 않아서 어린 아들이 사고로 죽었을 때 딸 장하빈(채원빈)을 의심했지만 끝내 그 답변이 두려워 묻지 못했던 장태수(한석규), 역시 딸을 의심해 이수현(송지현)의 사체를 보고 딸이 죽였을 거라 의심했지만 묻지 못해 저지른 잘못으로 끝내 극단적인 선택을 한 엄마 윤지수(오연수), 깨어 보니 옆에 죽어있던 송민아(한수아)를 자신이 죽인 거라 착각했던 박준태(유의태), 아들이 그랬다는 걸 반신반의하며 사체를 대신 유기한 박준태의 아버지 정두철(유오성)...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의심이 만들어내는 틈입 때문에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못해 벌어진 복잡한 심리들을 범죄스릴러 속에 담았다. 구대홍과 이어진의 대화에서 느껴지듯이 이러한 의심은 객관적으로 사건을 봐야할 형사들조차 피할 수 없었다. 피해자의 마음을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는 소신을 가진 구대홍은 그래서 사건 자체를 냉철하게 보지 못해 놓치는 것들이 생겼고, 사건만을 냉철하게 보려 한 이어진 사람의 마음을 깊숙이 들여다보지 못함으로써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믿지 않으려 하는 건 믿지 않는 일들이 생겼다.

이건 장태수도 다르지 않았다. 그는 범죄 현장을 훑어보기만 해도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가늠하는 베테랑 프로파일러였지만, 딸이 동생을 죽였을 지도 모른다는 의심에도 끝내 그걸 묻지 못했다. 혹여나 그것이 사실로 드러날까 두려워서였다. 그 복잡한 심리들이 얽히고설킨 사건들이 모두 풀어지고, 김성희(최유화)가 모든 사건의 범인이라는 게 드러난 후, 드디어 장태수는 그 진실과 마주한다. 딸에게 묻는다. 그때 동생을 죽였냐고. 아니라는 딸의 말을 듣고 장태수는 오열한다. “그래 알아... 아빠가 너무 늦게 물어봐서 미안해. 미안해. 정말 미안해.”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최종 범인인 김성희를 찾아가는 범죄스릴러의 수사 과정이 실로 치밀했다. 처음에는 하빈을 의심하게 하더니, 그의 엄마인 윤지수(오연수)는 물론이고 가출팸의 리더인 최영민(김정진)이 의심됐고 그 후에는 박준태(유의태)와 그의 아버지 정두철로 그 의심의 꼬리들이 계속 이어졌다. 그리고 끝내 도달한 김성희의 추악한 본 모습은 시청자들을 소름돋게 만들었다. 아들 도윤이와 함께 손을 잡고 있는 장면만 봐도 끔찍할 정도로.

이토록 치밀한 범죄스릴러 속에 이 작품은 가족극으로서의 심리 서사를 채워넣었다. 아버지와 딸 사이의 의심과 배신감이 두려움과 상처로 이어지고, 결국 끝내 그 진실을 마주함으로써 드디어 화해하게 되는 그 과정을 치열한 심리극으로 그렸다. 그래서 범죄스릴러의 액션보다 더 드라마틱한 건 인물들의 요동치는 감정과 심리의 변화였다. 범죄스릴러와 가족극에 심리극까지 더해 넣은 대본의 치밀함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그걸 효과적으로 표현해내는 배우들의 호연이 필수적이었고 배우들은 빈틈없이 그걸 채웠다.
딸에 대한 의심 때문에 지독한 고통 속에서 사건 수사와 더불어 가족들이 겪은 마음들까지 들여다봐야 하는 장태수 역할의 한석규는 실로 이 작품의 시작과 끝이라 할 정도로 치밀한 심리 연기를 보여줬다. 얼굴 표정 하나, 말 하나까지 허투루 연기된 게 없었다. 그래서 시청자들은 그가 겪는 고통을 그대로 느끼며 극에 빠져들었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가 시청자들을 미치게 만든 이유다.

여기에 신예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당찬 연기를 펼친 채원빈과, 한석규 옆에서 서로 다른 성향의 두 프로파일러 역할로 든든히 자리를 채워준 한예리, 노재원은 물론이고, 장태수와 수사에 있어서 각을 세우면서도 진실을 외면하지 않고 나가는 형사 오정환 역할의 윤경호, 악역 최영민 역할의 김정진, 나아가 특별출연이지만 특별한 존재감을 보여준 오연수와 유오성 또한 빈틈이 없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작품이 발견한 배우는 끝내 범인으로 밝혀진 김성희라는 희대의 악녀 연기를 소름끼치게 소화해낸 최유화다. 이들 모두의 앙상블이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를 쫄깃하게 했고 빠져들게 만들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건 인물의 심리를 화면 안에 담는 미장센이 돋보인 송연화 감독의 연출이다. 진실 앞에서 궁금해하면서도 두려워하는 장태수의 심리를 문 앞에 선 그의 모습으로 상징해 포착해내고, 딸과 서로 갈등하다 끝내 화해하는 그 광경까지 영상 연출은 그냥 찍힌 게 없었다. 무엇보다 복잡할 수 있는 사건들을 순차적으로 하나하나 풀어냄으로써 범죄스릴러라면 응당 가져야할 반전의 반전을 효과적으로 담아낸 연출은 박수받아 마땅하다.

올 들어 방영된 드라마들 중 가장 특별한 드라마로 기억될 작품이다.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는 그래서 이토록 치밀한 웰메이드 드라마로 읽힌다. 드라마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렵다고 하지만 대본과 연기와 연출로 꽉꽉 채워진 드라마가 그 대안일 수밖에 없다는 걸 이 작품은 보여주고 있다. 그저 화려한 외관으로 채워지는 드라마가 아닌 촘촘하고 치밀한 내면들로 채워진 드라마만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걸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만큼 제대로 보여준 드라마가 있을까.
“있는 그대로 보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이 대사는 그래서 현재의 드라마 산업에 대한 질문으로도 다가온다. 드라마업계가 어려운 원인은 이미 우리가 다 알고 있다. 그걸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드라마 본분의 완성도에 집중하는 것. 그것이 사태를 뚫고 나갈 수 있다고 이 드라마는 말해주고 있는 듯 하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gmail.com
[사진=MB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