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적 완성도와 흥행이 별개가 된 까닭

[엔터미디어=이만수 기자] 연일 영화 <명량>이 뜨거운 화제다. 그런데 그 화제의 대부분은 숫자에 대한 것이다. <명량>의 관객수가 역대 어떤 신기록을 세웠다는 얘기는 이제 진부해져버렸다. 거의 매일 자기가 세운 기록을 자기가 깨고 있다는 얘기가 거의 실시간으로 기사화되어 올라온다.

그도 그럴 것이 천만 관객을 이렇게 손쉽게 넘어버린 영화도 드물 것이다. 말이 쉬워 하루에 100만 관객이지 다른 영화의 입장이라면 그게 전체 관객 수에 비견되는 수치다. 하지만 수치가 만들어내는 착시현상도 있다. 마치 관객 수가 작품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바로미터처럼 오인되는 것이다.

사실 영화의 관객 수가 작품의 완성도와는 별개가 된 건 이미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이 자리를 잡고 배급사와 영화관이 공조하는 시점에서부터 비롯된 일이다. 영화의 흥행은 단지 잘 만들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배급과 유통라인을 갖고 있느냐가 관건이 되었다. 이번 <명량>의 신드롬급 흥행은 영화가 가진 힘이 작용한 바가 크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계속해서 상영관을 늘린 배급의 힘과 무관하지 않다.

영화의 선택은 대부분 취향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더 많은 사람들이 같은 취향에 동조했다고 해서 영화의 완성도가 높다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최근 졸작이냐 수작이냐를 놓고 벌어진 설전에서는 그 졸작과 수작을 가늠하는 애매모호한 기준 때문에 논란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잘 만들었다’는 표현에는 예술적인 완성도에 대한 측면도 있지만 상업적인 성취에 대한 측면도 있다.

즉 <명량>은 예술적인 가치나 만듦새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수작이라 말하기가 애매해진다. <명량>은 뭔가 영화적인 새로운 시도를 선보인 그런 영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영화를 철저히 상업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면 관객들의 정서를 철저히 따라감으로써 충분히 마음을 움직이는 그 힘을 부정하기가 어렵다. 그런 면에서는 꽤 잘 만든 영화라는 점이다.



또한 <명량>의 신드롬급 관객 수는 영화에 대한 가치판단을 엉뚱하게 만드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명량>의 홍보문구를 보면 마치 이 영화가 위기상황에서 국가를 구하는 구국의 영웅 이순신을 그리고 있는 것처럼 호도된다. ‘명량’이라는 공간이 주는 의미가 훨씬 큰 영화임에도 이순신 장군에 더 포인트가 맞춰져 홍보된다. 이렇게 된 것은 그것이 더 홍보효과가 좋기 때문이다. 국민적인 관심을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으로 집중시키는 것.

하지만 영화는 단지 구국의 영웅 이순신을 그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애국 마케팅은 오히려 이 영화를 오인하게 만드는 이유로 작용한다. <명량>은 철저히 국가와 왕으로부터 버림받은 이들이 ‘명량’이라는 죽음의 바다에서 함께 싸우며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다. 이순신 장군은 그 이야기의 구심점으로 작용하지만 그렇다고 그와 함께 싸우는 민초들의 이야기가 중요하지 않은 건 아니다.

<명량>이라는 영화와 이 영화의 흥행을 바라보면 거기에 명암이 드리워진 우리영화의 자화상이 드러난다. 영화가 영화로서 즐기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사회적 신드롬이 되는 현상은 우리가 사는 현실이 얼마나 비뚤어져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그리고 그렇게 현실의 갑갑함이 만들어낸 신드롬은 멀티플렉스를 보유한 거대 배급사들에 의해 간단히 관객 수와 수익으로 환산된다. 그리고 이렇게 수치적으로 환산된 관객 수는 마치 그 영화의 작품성이나 완성도에 대한 평가인 것처럼 호도된다.

멀티플렉스가 이미 놀이공원이 된 현재, 영화란 온전히 예술적으로만 판단되기 어려운 놀이의 하나가 되었다. 그러니 대중들은 그 안에서 웃던 울던 어떤 감정적 즐거움을 선사받기를 원한다. 이런 영화의 시스템이 달라진 상황에서 과거처럼 영화를 예술의 하나로만 바라보기는 어렵게 되었다. 그것은 이제 철저하게 상품화되어 우리 앞에 제시된다. 이제 남은 건 하나다. 구매하던가 하지 않던가. 관객 수란 더 이상 이 상품화의 성공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뿐, 그 작품의 예술적 성취도를 말해주지 않는다.

이만수 기자 leems@entermedia.co.kr

[사진=영화 <명량>스틸컷]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