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객주’, 촌스러운 듯 의외로 강한 스토리의 향연
[엔터미디어=정덕현] MBC 드라마 <그녀는 예뻤다>의 그림자에 가려 잘 보이지 않던 KBS 드라마 <장사의 신-객주(이후 객주)>가 조금씩 눈에 띄기 시작한다. <그녀는 예뻤다>가 종영한 자리에 <객주>가 그 자리를 꿰찰 수 있을지 주목되는 시점이다.
김주영 작가의 원작소설 <객주>는 1979년부터 서울신문에 연재되어 1984년까지 총 9권 분량으로 쓰인 대하소설이다. 내내 미련이 남았다는 김주영 작가는 최근 10권을 내놓으며 그 마침표를 찍은 바 있다. 아무래도 1979년부터 1984년까지 쓰인 소설이기 때문에 2015년 현재의 공기와는 사뭇 다른 느낌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이야기가 진부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 이야기 속의 정서들이 지금의 쿨한 세태와는 조금 결을 달리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사극 <객주>는 마치 옛 사극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어린 시절 파산해버린 천가객주의 후계로 태어나 누이와도 이별한 채 송파마방에서 잔뼈가 굵은 천봉삼(장혁)이라는 인물의 인생역정과 성장스토리가 그렇다. 그 성장스토리는 우리가 성장사극에서 많이 봐왔던 그 익숙한 구조 그대로다. 또 천봉삼의 조소사(한채아)에 대한 순애보 역시 요즘 정서의 사랑이야기와는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하지만 지금의 세태와는 사뭇 달라 조금은 촌스럽게까지 느껴지는 이 이야기가 의외로 강력한 몰입감을 주는 건 왜일까. 송파마방의 쇠살주인 조성준(김명수)이 친동생 같은 차인행수 송만치(박상면)가 아닌 천봉삼에게 객주를 물려주려 하자 송만치가 조성준의 처인 방금이(양정아)와 도주해 마방을 팔아먹는 이야기는 <객주>가 단지 장사에서 이문을 남기거나 혹은 손해를 보는 정도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걸 잘 보여준다.
이 사건으로 결국 조성준에게 붙잡힌 방금이는 오른쪽 발뒷꿈치를 작두로 잘리고, 송만치는 거세된다. 즉 장사만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객주의 엄격한 규칙 속에서 사람의 목숨이 왔다 갔다 하는 결과들이 벌어지고 있는 것. 혀를 잘못 놀리면 그대로 잡혀 혀가 잘린 채 길바닥에 버려진다. 이것이 객주라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이다.
<객주>는 망하면 식구들이 모두 길거리에 나앉아 굶어죽을 수도 있다는 그 살벌함을 바탕에 깔아놓는다. 또한 돈을 벌겠다는 욕망이 과할 때 그 결과가 참혹하다는 것도 알려준다. 그래서 <객주>는 하나의 전쟁터 같은 살벌함을 장사라는 판에 끼워 넣는다. 무수한 인물들이 저마다의 욕망을 또아리처럼 틀고 앉아 기회를 노리고 있는 상황이니 이야기의 극성은 최고조로 올라갈 수밖에 없다.

여기에 <객주>는 천봉삼의 조소사에 대한 달달한 순애보와 그런 천봉삼을 또 사모하는 매월(김민정)의 비틀린 사랑을 더해 놓는다. 또 어릴 때 헤어졌던 누이 천소례(박은혜)와 천봉삼의 극적인 상봉 이야기는 마치 출생의 비밀 같은 강력한 힘을 심어놓는다. 성장스토리와 멜로, 가족이야기와 복수극. 실로 대하사극이 담아낼 수 있는 거의 모든 이야기적 요소들을 갖춘 셈이다.
그 중심에 천봉삼이라는 인물이 서 있다. 그는 누이도 찾아야 하고 스스로를 성장시켜 다시 천가객주를 되살려야 한다. 게다가 천가객주를 그렇게 만든 이들에게 복수를 해야 하며 동시에 그를 따르는 여인들과 애증의 멜로를 그려나가야 한다.
결국 조금은 촌스럽게 느껴져도 한 번 들여다보면 빨려들 수밖에 없는 몰입감의 원천은 생생히 저마다의 욕망이 꿈틀대는 캐릭터들과 그들이 엮어가는 스토리의 힘에서 나온다. 순애보는 달달하지만 성장기는 살벌한 <객주>가 의외로 강한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