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이 꼬집은 육아시장의 엄마 강요

[엔터미디어=정덕현] “근데 이 언니가 모유를 주던 분유를 주던 무슨 상관인데 이렇게들 난리인거에요? 그건 이 언니가 선택할 문제잖아요.” tvN 월화드라마 <산후조리원>에 모유냐 분유냐를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모유만이 엄마가 아기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며 엄마 자신에게도 행복이라 주장하는 조은정(박하선). 하지만 새로 산후조리원에 들어온 이루다(최리)는 처음부터 모유 대신 분유를 선택하며 분유가 독약도 아닌데 사정이 있으면 줄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반박했다.

조은정은 모유가 좋은 이유에 대해 면역력, 두뇌발달, 애착형성 등을 거론하자, 이루다는 모르겠다며 이렇게 말한다. “요즘에 소들도 방목해서 기르잖아요. 스트레스 안 받아 행복한 젖 짜려고요. 근데 여기 있는 엄마들 봐 봐요. 밤새 한숨도 못자고 쉬지도 못하고 있잖아요. 잠도 못자고 여기 갇혀서 스트레스 받으면서 짠 엄마 젖이 자유롭게 뛰놀며 행복하게 산 소젖보다 진짜 좋을까요?”

그 말에 다른 산모들은 모두 움찔한다. 딱풀이 엄마 오현진(엄지원)은 그 중간에 끼어 갈팡질팡한다. 아기를 위해 모유를 챙겨야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면서도 이루다의 말처럼 그것이 강요될 일인가 갈등하는 것. 그러자 조은정은 이제 엄마의 죄책감을 공략한다. 모유를 주지 않으면 평생 아이한테 무슨 일이 생길 때마다 죄책감을 느낄 거라는 것. 그런데 과연 모유를 주지 않는다고 이런 죄책감을 들게 만들면서 모유수유를 강요하는 건 상식적인 일일까.

<산후조리원>이 흥미로운 건 아이를 갖게 된 여성들에게 모성을 강요하는 사회와 그것이 산업적으로 어떻게 시스템화 되어 있는가를 유쾌하고 발랄하게 꼬집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여기 등장하는 세레니티 산후조리원이나 모든 엄마의 표상처럼 등장하는 조은정 그리고 그와 정반대의 위치에 서 있는 이루다 같은 인물들은 모두 과장된 코미디로 그려져 있다. 그래서 빵빵 터지는 상황들의 웃음이 존재하지만, 그 웃음 이면에는 이런 모성 강요 사회의 시스템에 대한 신랄한 비판의식이 숨겨져 있다.

아이에 대한 죄책감은 모성 강요(여기에는 부성도 포함된다)의 중요한 불쏘시개로 작용한다. 오현진의 남편 김도윤(윤박)이 유모차 매장에 갔다가 30만 원짜리에서 시작해 수백만 원에 달하는 엄청난 고가의 명품 유모차를 영업당하는 과정은 부모의 죄책감을 이 산업이 어떻게 건드리고 있는가를 우스꽝스럽게 그려낸다. 진짜 좋은 제품이지만 안정성’, ‘아기의 정서적인 면’, ‘아이의 개성이 아쉽다는 식으로 부모의 죄책감을 건드려 고가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또 산후조리원에서 아기를 산모에게 데려다 주는 안희남(최수민) 간호사 역시 이런 시스템의 작동방식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잠깐 남편과 외출을 하고 돌아온 오현진에게 안희남은 아기 목소리를 빙의해 이렇게 말한다. “엄마 날 잊은 거야? 엄마는 내가 없던 때로 돌아가고 싶었던 거야? 엄마 미안해. 내가 나오지 말았어야 하는데. 차라리 엄마 뱃속이 좋았어. 그 때 우린 늘 함께였잖아. 가까이 오지 마요. 지금은 엄마를 보고 싶지 않아요.”

웃기는 장면이지만 과연 이건 그저 웃고 넘어갈 수 있는 그런 장면일까. 아이를 갖게 된 부모들의 죄책감을 건드려 모성을 강요하고 그래서 아기를 갖고 나면 엄마와 자기 자신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동을 느끼게 만드는 사회. 그런 사회 속에서 오현진은 반인반모, 엄마와 사람 그 중간 어디쯤에 자신이 있다고 말한다.

모유냐 분유냐에 대한 논쟁을 전면에서 보여주고 있지만, 드라마는 아이를 갖게 된 엄마가 자신을 잃어버리는(그것도 기꺼이 희생하는 게 미덕으로 여기지며) 사회의 부조리를 꼬집고 있다. 산모보다는 한 회사의 상무로서 입지를 다져온 오현진이지만 그는 산후조리원에 들어와 엄마 같지도 않고 그렇다고 옛날의 나도 아닌존재가 되어버린다.

이루다는 그런 오현진에게 안 맞는 속옷 입고 쩔쩔 매지 말라는 말로 에둘러 엄마 역할에 대한 강박관념으로 자신을 괴롭히지 말라고 한다. 그러면서 자식도 엄마 웃은 거 보면 제일로 좋아한다며 엄마가 행복해야 아기도 행복할 수 있다는 걸 강변한다. 분유를 주던 모유를 주던 그건 강요될 게 아니라 선택의 문제일 뿐이라며.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