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 소재, 믿보배 진선규, 중꺾마 스포츠가 다 있지만(‘카운트’)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믿고 보는 배우 진선규 출연작이어서 그만큼 기대감이 컸던 걸까. 권혁재 감독의 <카운트>는 초반 서사가 다소 지루하다. 코미디가 있지만 그 강도가 그리 강하지 않고, 생각보다 새로운 웃음이 채워지지도 않는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실제로 복싱 금메달을 땄던 박시헌 선수의 실화를 모티브로 하고 있어, 레트로적 감성이 깔려 있지만 그것이 그리 세련된 연출로 그려지진 않는다. 마치 영화는 등장과 함께 다운되어 카운트가 세어지는 처지로 시작한다.
이렇게 된 건 88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박시헌(진선규)이 금메달을 따고도 이를 반납하려했고 결국 권투계를 떠나 진해에서 별 의욕도 없이 체육교사로 하루하루를 살아가게 된 이유와 맞닿아 있다. 금메달을 땄지만 그건 ‘가짜’였다. 결승 경기에서 본인도 졌다고 생각했는데 자신의 손을 들어준 것. 편파판정 시비가 일었고 박시헌은 졸지에 금메달을 빼앗은 인물이 되어버렸다. 극중에서 그가 말하듯 차라리 그 경기에서 져서 은메달을 받았다면 후에도 계속 권투를 했을 수 있었을 터였다.

그렇게 다운되어 있던 박시헌을 일으켜 세우고, 다시 ‘진짜 금메달’을 향해 달리게 만든 건 윤우(성유빈)다. 가난하다는 이유로 승부조작에 의해 기권패를 당한 그에게서 박시헌은 자신을 본다. 그래서 권투에 타고난 재능을 가진 윤우와, 양아치가 되지 않기 위해 복싱을 하게 된 환주(장동주), 학교에서 툭하면 얻어맞는 덩치만 큰 샌드백 복안(김민호) 등을 데리고 복싱부를 시작한다. <카운트>는 이들이 여전히 편파판정과 승부조작이 벌어지는 이 불공정한 세계에서 꺾이지 않고 버텨내는가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다운으로 끝날 뻔했던 지점에서 영화는 이 ‘불공정’의 서사를 불씨 삼아 다시 ‘파이트’를 시작한다.
앞서도 말했듯 <카운트>는 대본에 있어서나 연출에 있어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작품인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러한 아쉬움을 채워주는 몇 가지 요소들이 있다. 그 첫 번째는 딱 박시헌이 된 듯 빙의된 연기를 착장하고 보여주는 진선규의 연기다. 첫 주연작이라 부담이 많았다고 했지만, 작품 속 진선규는 그가 어째서 대세 배우인가를 명확히 보여준다. 작품의 허점까지 채워 끌고 나가는 연기의 힘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최근 들어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이후 <퍼스트 슬램덩크>로 인해 더 정서적인 공감대가 커진 이른바 ‘중꺾마(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의 소재를 그것도 스포츠를 통해 보여준다는 점이다. 이 점은 이제 박시헌이 코칭한 아이들이 경기에 나가면서 조금씩 관객들의 감정을 끌어올린다. 하지만 여기서 감정이 더해지는 이유는 경기의 묘미 때문이 아니라, ‘불공정’한 세상에 이 아이들이 뻗는 주먹에 관객들도 조금씩 마음이 가기 때문이다.
바로 이 불공정을 메시지로 가져와 이 세계에서는 승자 또한 패자만큼 치명적인 상처를 입는다는 걸 집어낸 것이 이 작품의 아쉬움을 채워주는 세 번째 요소다. 그건 이 권투라는 스포츠를 소재로 한 영화를 확장시켜 우리네 현실의 축소판처럼 느끼게 해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물론 <카운트>는 굉장한 작품은 아니다. 하지만 가벼운 코미디와 스포츠가 더해진 휴먼드라마는 충분히 훈훈한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작품이다. 큰 기대를 가질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기대하지 않는 순간 훅 들어오는 펀치가 주는 한 방의 매력은 분명 있을 게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영화 ‘카운트’스틸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