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자매’의 유일했던 호감커플을 왜 이렇게 꼬아 놨나

[엔터미디어=정덕현] 관계가 배배 꼬였다. KBS 주말드라마 <오케이 광자매>에서 이광식(전혜빈)을 사랑하는 한예슬(김경남)은 아버지 한돌세(이병준)가 새 엄마로 맞아들이려는 오봉자(이보희)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생전에 어머니가 오봉자를 쫓아다니는 아버지 때문에 고통을 겪다 돌아가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사실을 알게 된 이광식은 한예슬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그를 너무나 사랑하지만 오봉자를 엄마처럼 생각하고 그의 행복을 진심으로 빌기 때문이다.
이광식이 한예슬을 사랑한다는 걸 알고, 그 누구보다 광식의 행복을 비는 오봉자는 이 사실을 뒤늦게 알고는 한돌세에게 이별을 통보한다. 자신들 때문에 아이들이 불행해지는 걸 원치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돌세 역시 이 이별통보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결국 네 사람이 한 자리에 모인 자리에서 한예슬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미치겠는 자신의 심경을 토로한다.

“내가 지금 얼마나 힘든 줄 아세요? 내 감정을 어떻게 할 수가 없어서 가슴이 터져버릴 것 같습니다. 너무 너무 미운데 나한테 고마운 원룸 사장님이고 이 사람 엄마 같은 분이라 미워도 미워하지도 못하고 가슴 속이 뒤엉클어져서 천 갈래 만 갈래로 찢어질 것 같다고요. 아버지. 어떡하면 되요? 내가 어떡하면 될까요?”
한예슬의 토로는 시청자들의 마음 그대로다. 이광식과 한예슬, 그리고 한돌세와 오봉자는 각각 서로를 사랑하는 커플이지만, 부모 자식 간의 배배꼬여버린 관계는 이들의 사랑에 커다란 장애물이 되어버린다. 어째서 이렇게 관계를 꼬아 놓아 버린 걸까. 사실 이런 관계의 꼬임은 과거 가족드라마에서 전가의 보도처럼 쓰였던 방식이다. 자식의 사랑이 알고 보니 부모 대의 악연으로 얽히는 이야기나, 이른바 ‘겹사돈’ 틀로 갈등이 이어지다 결국 화해하고 해피엔딩에 이르는 방식.

특히 이들의 배배꼬인 관계가 답답하고 안타깝게 여겨지는 건, 그나마 <오케이 광자매>에서 한예슬과 이광식의 사랑이 달달하고 따뜻해 고구마 가득한 이 드라마를 버티게 해주는 힘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들마저 문영남 작가는 관계를 꼬아버렸다. 그것이 작가의 스타일일 수는 있지만 꼭 이렇게 옛날 드라마들이 하던 드라마 작법을 가져와 관계를 꼬아 놓을 필요가 있었을까.
그래서 한예슬이 “어떡하면 될까요?”하고 답답해하는 그 토로는 이 주말드라마가 왜 이리도 답답한가를 잘 드러내준다. 그 이유는 당연하게도 이런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갈등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내고 있어서다. 시청자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건 작가의 뻔한 작법이 너무 시대착오적이기 때문이다. 과거라면 그러려니 했겠지만, 요즘 이런 인위적인 갈등을 그 누가 공감할까.

되돌려 생각해보면 한예슬이라는 인물 역시, 사정이야 어떻든 결혼신고를 한 유부녀였던 이광식과 사랑에 빠졌던 전적이 있다. 그래서 이혼을 하는 조건으로 돈 5천만 원을 광식의 시댁에 주기도 했다. 그런 경험을 한 인물이라면, 부모의 강권으로 원치 않은 결혼을 했지만 진짜 사랑했던 오봉자를 평생 마음에 두고 살아온 아버지 한돌세를 이해할 수도 있지 않을까.
KBS 주말드라마의 시청자들은 사실 굉장히 새로운 이야기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과거의 드라마 문법이 어느 정도 활용되는 것 역시 받아들이는 편이다. 다만 너무 의도적으로 모든 인물들에 비정상적 갈등 상황들을 펼쳐 놓는 건, 그나마 주말드라마를 통해 가족에 대한 향수나 따뜻함을 원하는 시청자들을 답답하게 만들 뿐이다. 이런 방식으로 지금의 시청자들을 공감시키기는 어렵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