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평정한 ‘지옥’, 신과 신을 해석하는 인간들에 던진 화두

[엔터미디어=소설가 박생강의 옆구리tv]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지옥>의 주제는 신과 인간이다. 드라마는 적절한 액션과 호러 분위기를 가미하지만, 오히려 뚝심 있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밀고 나간다. 당연히 시청자들 사이에 호불호가 갈릴 만하다. <지옥>은 절대 킬링타임 오락물은 아니다. 다만 인류가 신과 함께 살아온 시간을 ‘킬링’하고 다시 돌아보고 싶은 시청자들에게 굉장히 매력적인 콘텐츠다.

<지옥>은 기존의 한국 드라마가 ‘신’이라고 하면 빙의나 무속 쪽에 젖줄을 댄 것과는 다른 식으로 이야기를 끌고 간다. 오히려 한국의 사이비종교 역사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기존 한국 스릴러물에 사용한 사이비종교 소재와는 또 맥이 다르다. 기존의 스릴러물은 교주의 악행을 중심으로 플롯을 짠다. 하지만 <지옥>은 더 크고 본질적인 화두를 던진다.

바로 신은 그저 초자연적인 재앙을 내리는 존재인가? 아니면 인간의 도덕을 심판하는 존재인가, 라는 질문이다.

<지옥>은 어느 날 인간에게 지옥 고지가 내려오고 고릴라 혹은 바야바 닮은 저승사자가 그 인간을 지옥으로 끌고 가는 이야기다. 이미 첫 장면에 지옥행이 등장하면서 드라마 속 등장인물들만이 아니라 순식간에 시청자를 몰입시킨다.

신흥종교 새진리회의 수장 정진수(유아인)는 이것이 죄인을 벌하는 신의 처벌이라고 말한다. 그러니 인간은 더 정의롭게 살아야 한다고 말을 한다. 그리고 박정자(김신록)의 지옥행 시연을 생중계하며 그는 한국 사회에서 가장 추앙받는 인물이 된다.

하지만 <지옥>은 정진수의 과거가 드러나며 또 다른 반전을 보여준다. 정진수는 고아로 태어났지만 아무런 죄를 짓지 않고 살아온 순수한 청년이었다. 그런 그가 지옥 고지를 받는다. 아무런 죄가 없이.

정진수는 본인이 지옥행이 될 것을 알고는 계획을 세운다. 바로 본인이 지옥에 가기 전까지, 지옥 고지를 신의 윤리적 심판으로 바꿔가는 것이다.

이처럼 <지옥>은 신과 인간에 대해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과연 신은 도덕적인 존재인가? 고대시대에 신은 그저 변덕스럽고 무서운 존재였다. 마치 태풍이나 지진처럼. 하지만 불교와 기독교의 시대에 이르러 신은 자비와 사랑을 지닌 존재로 변화한다. 예수와 부처라는 선지자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대 종교의 사랑은 신에 대한 복종이나 도덕적인 삶을 바탕으로 받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보답으로 우리는 천국에 가거나 성불을 한다. 만약 그 길에 복종하지 않으면 그는 악마 같은 존재로 은유될 수도 있다. 극단적인 예로 1980년대 미국 사회가 AIDS환자를 신의 지옥고지를 받은 죄인으로 은유한 것처럼.

하지만 과연 그 기독교, 불교 시대에 신의 윤리는 정말 신의 뜻인가? 어쩌면 그것은 초자연적인 신적 존재의 힘을 해석한 인간이 만들어낸 장치 아닌가?

<지옥>은 바로 이 의문의 지점을 이야기로 만들어낸다. 물론 <지옥>에서 정진수는 지옥 고지를 빌어 정의로운 삶에 대한 믿음 같은 것을 설파하는 예언자처럼 보인다. 이미 지옥행이 결정된 그는 아무런 현실의 부귀영화에 관심이 없어 보인다.

허나 그의 죽음 이후 세력화된 새진리회는 다르다. 새진리회는 지옥 고지와 정의로운 삶을 무기로 사람들을 압박한다. 여기에서 <지옥>은 또 한 번의 반전이 있다. 과연 정의는 그 자체만으로 순수한 것인가? 인간이 만들어낸 신의 윤리처럼 정의 또한 인간이 만들어낸 규칙이며, 그 규칙은 인간의 목을 죄는 사슬이나 소위 화살촉 집단의 폭력처럼 오용될 수 있는 것 아닌가? 오히려 그에 맞서는 민혜진(김현주) 변호사가 악의 존재로 매도당할 수도 잇는 것 아닌가?

한국은 해방 이후 정의란 이름으로 자행된 수많은 비극이 이어져 온 나라다. <지옥>은 어쩌면 한국 사회의 오랜 지옥도가 그 밑그림인지도 모른다. 신과 정의와 폭력의 괴상한 조합, 그것이야말로 거대한 덩치의 조폭 닮은 저승자사처럼 한국 사회에 깃들인 어둠이기도하다.

칼럼니스트 박생강 pillgoo9@gmail.com

[사진=넷플릭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