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을 뒤집어 놓은 ‘옷소매’의 전복적 여성 서사

[엔터미디어=정덕현의 네모난 세상] 애초 MBC 금토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은 그다지 큰 기대작은 아니었다. 정조 이산과 의빈 성씨의 로맨스가 그 소재였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이 소재는 <이산>이라는 사극에서 이미 다뤄진 바 있다. 이병훈 감독이 연출하고 김이영 작가가 쓴 정조(이서진)와 성송연(한지민)의 러브스토리.

이밖에도 영정조 시대는 사극이 자주 다뤘던 시기다. 성군이 탄생하고 태평성대를 이루던 시기였지만 궁에서는 사도세자가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죽는 비극이 벌어졌다. 따라서 그 아들인 정조 이산은 삶 자체가 가시밭길이 아닐 수 없었다. 사도세자의 그림자 때문에 영조로부터 핍박받았고 왕이 되어서도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된 정적들의 끝없는 위협 속에서 살았다. 이러니 이 소재는 그 자체로 드라마틱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실제 역사적 사실인 의빈 성씨와의 절절한 사랑이야기까지 있으니 금상첨화가 아닐 수 없었다.

하지만 아무리 드라마틱한 소재라 해도 반복되는 이야기라면 식상해질 수밖에 없다. <옷소매 붉은 끝동>은 그런 점에서 기대감이 떨어지는 사극이었다. 이산 역할로 이준호가 성덕임 역할로 이세영이 캐스팅된 점도 이런 우려 섞인 예감을 더 짙게 만들었다. 신인은 아니지만 그러면서도 중견도 아닌 캐스팅.

그렇지만 이런 우려를 <옷소매 붉은 끝동>은 보기 좋게 뒤집었다. 그것은 같은 역사적 소재라고는 해도 이 작품이 관점 자체를 전복시켜 놨기 때문이다. <이산>이 정조 중심의 서사를 풀어낸 사극이었다면, <옷소매 붉은 끝동>은 궁녀 성덕임을 중심으로 여성 서사를 풀어낸 사극이었다. 여기서 주목할 건 ‘궁녀’라는 직업이다.

사실 그간 사극에서 궁녀란 늘 배경처럼 치부되던 존재들이었다. 물론 간간히 역할을 맡지만 주연보다는 조연이나 조역에 가까웠고, 그들이 어떤 일들을 하는 지조차 두루뭉술하게 그려지기 일쑤였다. 사실상 궁에는 왕가 패밀리와 신하들이 있지만 그들만 있는 건 아니었다. 그들 옆에 궁녀들이나 무관, 내관 등이 존재했다. 무관과 내관을 주인공으로 삼는 사극도 존재했지만 궁녀들은 그리 전면에 등장한 게 별로 없었다.

<옷소매 붉은 끝동>은 성덕임을 그냥 ‘궁녀’가 아닌 글씨를 잘 쓰고 이야기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전기수’로서의 면모를 가진 직업인으로 그렸다. 이것은 그의 동무들인 김복연(이민지), 배경희(하율리), 손영희(이은샘) 같은 궁녀들도 마찬가지다. 김복연은 대전의 세수간나인이고, 배경희는 침방나인으로 손재주가 뛰어난 궁녀이며 손영희는 세답방나인으로 다듬이질 재주를 가진 궁녀다. 궁녀로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을 것 같지만 드라마는 이들을 그렇게 밋밋하게 그리지 않는다. 이들은 나름의 ‘소확행’을 추구하는 삶을 보여주기도 한다.

제조상궁 조씨(박지영)가 정치 일선에 뛰어들어 홍정여(조희봉) 같은 인물과 결탁해 이산이 보위를 물려받는 걸 막으려 하는 이유에도 궁녀들의 관점과 입장이 들어가 있다. 그는 사도세자 시절에 죽어나간 궁녀들을 보면서, 자신들을 지킬 수 있는 건 자신들 뿐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 아들인 이산 또한 그 아버지와 같지 않을까 저어하며 그의 길을 막으려 하는 것.

<옷소매 붉은 끝동>은 이처럼 궁녀의 입장에서 영정조시대의 이야기를 재구성했다. 성덕임이라는 무수히 많은 스토리들을 읽어 그것을 활용할 줄도 아는 능동적인 궁녀를 전면에 내세워 그가 궁녀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일들로 이산을 도와 보위에 올리고 그 후에도 그를 보좌하는 이야기가 <옷소매 붉은 끝동>이다.

게다가 이 과정에는 당연히(실제 역사이기도 한) 성덕임과 이산의 러브스토리가 들어간다. 그래서 <옷소매 붉은 끝동>은 성덕임이 궁녀라는 위치에서 자신의 전문적인 직업을 통해 이산의 정치적 동지로서 활약하는 모습과 더불어, 이산과의 사랑을 쟁취해가는 과정 또한 담고 있다. 지금의 여성들이 일과 사랑에서 모두 어떤 성취를 얻기를 바라는 욕망이 충분히 투사될 수 있는 캐릭터다.

흥미로운 건 멜로 관계에 있어서도 성덕임이 이산에 의해 천거 받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그걸 선택하고 쟁취해내는 인물로 그려진다는 점이다. 귀하게 얻은 감귤을 이산이 성덕임에게 내주자 그걸 돌려주며 실랑이를 벌이는 장면은 이 멜로의 주도권을 누가 쥐고 있는가를 분명히 드러낸다. 이산이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마음을 드러내지만 성덕임은 애써 선을 긋는다. 감귤을 애써 손에 쥐어주려는 이산과, “수라상에나 오를 귀한 과일”이라 “소인에겐 과분한 것”이라며 돌려주는 성덕임. 그건 감귤을 빙자해 나누는 사랑의 밀당이나 다름없다.

왕의 입장이 아닌 궁녀의 입장을 내세우고, 그 주도권을 궁녀인 성덕임에게 쥐어줌으로써 조선시대라는 상황 속에서도 그려지는 현대적 여성서사가 남다른 감흥을 주는 건 당연한 일일 게다. 실제 역사적 사실 이면에 놓여 있는 빈 공간을, 그 단단한 신분과 남녀의 차이를 깨치고 나가는 인물이라는 현대적 여성서사로 채워 만들어낸 카타르시스가 크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지점이 <옷소매 붉은 끝동>이 사극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요인이 아닐까 싶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MBC]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