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KBS 제공]
[사진 = KBS 제공]

[엔터미디어 정미선 기자] "베르가모는 바이러스로 고통받고 상처 입은 이탈리아의 상징입니다." -마타렐라 대통령

코로나19로 ‘죽음의 도시’ ‘사이렌 소리가 끊이지 않는 곳’이라 불린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의 소도시 베르가모. 12만 명의 인구가 사는 이곳은 유럽 내 코로나19 확산 거점으로 지목된 이탈리아에서도 가장 큰 희생을 치른 곳이다.

지난 3월 화장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러 군용 트럭이 수많은 시신을 옮기는 장면이 보도돼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겼다.

이후 사태가 나아지자 이탈리아 정부는 콜로세움을 84일 만에 재개장하고 바티칸 박물관도 다시 문을 여는 등 봉쇄 조치를 완화했다. 더해 보건당국은 4월 말부터 40여 일간 주민 2만 명을 검사한 결과 57%가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해 집단면역의 가능성 또한 제기했다.

한때 예술의 도시라고 불린 베르가모가 ‘죽음의 도시’가 되기까지.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에서 ‘그곳에 직접 찾아가 코로나19가 휩쓸고 간 베르가모 주민들의 일상을 깊숙이 취재했다. 

4일 토요일 밤 9시 40분 KBS1TV '특파원보고 세계는 지금‘에서 베르가모의 '코로나19의 상흔'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