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식당’ 금새록, 새로운 출연자 캐스팅의 좋은 예

[엔터미디어=정덕현] 새로운 출연자는 프로그램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SBS 예능 <백종원의 골목식당>에 정인선 후임으로 들어온 금새록은 이런 질문을 던져보게 만든다. 사실 최근 들어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그 이야기의 패턴이 비슷비슷해져 시청자들에게 어떤 새로움 보다는 익숙함이 더 많이 느껴지게 된 면이 있다. 그래서 아마도 제작진은 무언가 변화를 주고 싶었을 게다. 금새록은 그런 점에서 꽤 괜찮은 캐스팅이 아니었나 싶다.

백종원이야 전문가이니 이제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처음 음식점을 방문하고 거기 사장님들과 첫 만남 이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그 일련의 과정들이 익숙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과정들을 ‘서당개 협회장’이라 자칭하는 김성주 또한 익숙하게 느끼고 심지어 경험에서 우러나는 능숙함을 보인다는 건 조금 다른 이야기다. 즉 처음에는 초보자이고 낯설었던 김성주가 이제 ‘서당개’로서의 힘을 발휘한다는 건, 계속 이 프로그램을 봐왔던 시청자들의 변화(?) 또한 얘기해주는 면이 있어서다.

백종원의 여러 솔루션을 접하는 걸 옆에서 보면서 능숙해진 김성주처럼, 이제 그걸 오래도록 봐온 시청자들도 그 솔루션들이 익숙해졌다. 저 집은 레시피가 문제고, 저 집은 손님 접대가 문제이며, 저 집은 기본이 안되어 있고, 저 집은 의지조차 없어 보인다고 이제 시청자들도 백종원이 가게를 첫 방문할 때 알아차린다. 그리고 그 문제들에 대한 솔루션도 어느 정도 예감한다. 그러니 프로그램이 새로운 골목을 찾아가도 이야기가 새롭게 느껴질 리가 만무다.

부천 카센타 골목편에 등장하는 수제버거집, 샌드위치집, 반반가스집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청년 창업인데다,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이 가게들은 남다른 열정을 기반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누군가에 솔루션을 접해본 적이 없어 어찌해야 할 지를 모르고 있다. 백종원이 들여다본 것처럼, 수제버거집은 패티의 문제를 잡아야 하고, 샌드위치집은 신선한 재료에 비해 떨어지는 소스의 맛을 잡아야 한다. 반반가스집은 어떤 돈가스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그 맛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백종원이 투입되었으니 문제가 파악되고 나면 당연히 해결될 거라는 걸 이제 시청자들도 알고 있다.

이 익숙해진 이야기 틀에 금새록은 모든 게 낯설지만 열정 가득한 새 출연자로서 프로그램에 새로운 활력을 넣고 있다. 다소 과한 설정처럼 보이지만 나름 색다른 느낌을 주는 ‘브리핑’을 하고,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허당이긴 하지만 소신 있게 의견을 이야기한다. 결국 김성주가 서당개로서 얼마나 경험치를 갖게 됐는가를 금새록은 그 ‘허당’의 면면으로 오히려 부각시켜준다.

서당개에 빗대 금새록이 ‘허당개’라는 별칭까지 갖게 되면서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백종원-서당개-허당개라는 새로운 차별 관전포인트가 만들어졌다. 척척 맞추고 능숙하게 솔루션을 해내는 모습으로만 익숙했던 프로그램이, 허당 가득한 미숙함을 드러내지만 남다른 열정으로 조금씩 성장해갈 금새록의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갖게 된 것이다. 물론 왜 계속 여성 출연자들만 교체되고 있는가에 대한 아쉬움은 적지 않지만, 그래도 금새록 캐스팅은 괜찮은 선택이라 여겨지는 이유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