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의 밤’ 엄태구와 전여빈이 절절하게 보여준 지옥 속 낙원
‘낙원의 밤’, 박훈정 감독이 느와르로 풀어낸 사랑과 삶의 은유

[엔터미디어=정덕현의 그래서 우리는] 우리에게 낙원은 어디에 있을까. 지옥 같은 현실을 매일 같이 버텨내면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낙원은 삶 속에 존재한다기보다는 삶 저편에 있다고 여겨질 법 하다. 흔히들 말하는 이생망(이번 생은 망했어)’의 농담 섞인 한숨 속에 담겨지는 쓸쓸한 현실 인식처럼. 박훈정 감독의 영화 <낙원의 밤>은 감독 특유의 유혈이 낭자한 느와르 장르지만, 그 안에 사랑과 삶에 대한 은유를 통해 묻는다. 우리에게 낙원은 어디에 있느냐고.

여기 지옥 속에 살아가는 남녀가 있다. 태구(엄태구)는 유일한 피붙이인 누나와 조카가 살해당하자 상대 조직의 보스에게 치명상을 입힌 채 제주도로 피신한다. 그런데 태구를 보호해줘야할 조직의 보스가 제 목숨을 상대 조직에게 구걸하며 태구를 배신한다. 결국 태구는 자기 조직 보스와 상대 조직 모두의 타깃이 되어버린다.

재연(전여빈)은 태구가 내려간 제주도에서 인연을 맺게 되는 여자다. 그는 과거 조직에 몸담았다 나와 총기 밀매를 하며 살아가는 삼촌과 함께 살아가지만, 고통 속에 죽어가는 시한부인생이다. 태구와 재연은 그렇게 지옥 속에 살아가는 인물들이지만, 제주도에서의 그 짧은 시간 동안 낙원을 경험한다. 물론 그 낙원은 멜로드라마에 등장하는 그런 달달함을 말하는 게 아니다. 처절한 삶 속에서 그저 물회를 같이 먹고,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며, 저 멀리 바다를 바라보는 것 같은 순간의 한숨 같은 낙원이다.

이야기 구조만 보면 <낙원의 밤>은 우리에게 익숙한 박훈정표 느와르라는 걸 알 수 있다. 조직이 등장하고, 그 알력다툼과 그 속에서 벌어지는 복수극이 액면이다. 하지만 <낙원의 밤>의 매력은 이런 액면의 익숙한 느와르 이야기에 있지 않다. 그것보다는 느와르 사이사이를 채우는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광과, 그 안에서 마치 지옥을 살아가는 남녀가 잠시 서로를 쳐다보는 그 잠깐 동안의 정서적 훈훈함이 이 영화의 진짜 매력이다.

괜찮아?” “내가 괜찮아 보여? 난 딱 봐도 안 괜찮아 보이는데, 괜찮냐고 묻는 게 싫더라.” 영화 속 남녀가 농담처럼 주고받는 이 대화는 <낙원의 밤>이 보여주는 역설 속에서 그저 웃고 넘길 수 없는 여운을 만든다. 이들은 결코 괜찮지 않은 삶을 마주하고 있고, 그걸 서로 다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괜찮냐고 묻는다. 그렇게 물어주는 것만으로도 괜찮아지는 게 사랑이고 삶이기도 하다는 것처럼.

박훈정 감독은 <낙원의 밤>이라는 제목에 대해 낙원은 우리가 생각할 때 평화롭고 아름다운 곳인데 그 안에서 벌어지는 비극을 담는다는 그 아이러니를 보여주고 싶어 붙였다고 말한 바 있다. 태구와 재연이 제주도에서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잠깐이지만 강렬하게 마주한 낙원과 그 파국을 담았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건 거꾸로 이야기하면 삶 자체가 지옥이지만, 그 안에서 함께 밥을 먹고 시간을 보내는 아주 사소한 일상들이 낙원일 수 있다는 걸 말해준다. 느와르라는 장르를 통해 사랑과 삶에 대한 은유를 담으려 한 감독의 의도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엄태구는 작중 이름이 태구인 것처럼 마치 제 옷에 딱 맞는 옷을 입은 양 태구를 했다’. 전여빈은 tvN 드라마 <빈센조>에서 보던 그 과장되고 유머러스한 모습이나 JTBC 드라마 <멜로가 체질>에서 봤던 사랑스러운 모습과는 전혀 다른 무표정한 얼굴에서 나오는 강렬한 액션 연기를 보여줬다. 특히 그 흔한 키스신 하나 없이도 그 어떤 멜로드라마보다 절절하고 강렬한 사랑의 감정을 보여줬다는 건 엄태구와 전여빈 두 배우의 공이 아닐 수 없다.

뻔한 느와르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 느와르의 핏빛 장면들 사이사이에 채워지는 아름다운 제주도의 풍경들과 그 위에 서 있는 남녀 주인공의 감정 속을 들여다보길 바란다. 거기에 낙원이 존재할 테니. 비록 현실은 지옥일지라도.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넷플릭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