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돔 잡아야 비로소 행복해지는 ‘도시어부3’, 반등 모멘텀은 어디에?

[엔터미디어=김교석의 어쩌다 네가] 흔히들 시청률이 중요하지 않다고 해도, 여전히 TV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확실한 지표 중 하나다. 몇몇 장년층을 위한 예능을 제외한 경우 선호도 조사나 화제성 수치와 연동해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 더해 채널A 예능 <도시어부>의 경우는 특이하게도 실질적인 조황과 느껴지는 재미가 시청률과 정확히 정비례한다. 지난 4년간 그리고 또 시즌3이 시작되고 지난 몇 주간 방송된 내용과 결과를 놓고 봤을 때 즉, <도시어부>가 지향해야 할 목표는 분명해진다.

<도시어부>는 오늘날 유행하는 스포츠 예능의 선구자 격인 프로그램이다. 물론 스포츠가 아닌 레저이고, 몸을 부딪치는 박진감이나 성장 스토리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드라마가 흘러가는 것은 아니지만 진정성을 추구하고 이를 프로그램 전체를 돌아가게 만드는 에너지원으로 쓴다는 점에서 재미의 본질은 같다. 낚시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출연진들이 카메라 앞에서 낚시를 한다. 이것을 얼마나 진정성 있게 보여주느냐가 남은 숙제다. 즉 스포츠 예능과 같은 엔진을 쓰고 있는 셈이다.

박진철 프로를 제외하고 낚시는 취미생활일 뿐이지만, 이덕화로 상징되는 일희일비의 감정에는 꾸밈이 없다. 10시간이 짧다고 할 정도로 집중하는 절실함과 즐거움이 진심으로 다가온다. 지난 몇 달간 시즌2의 지상렬과 엇비슷한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이태곤은 성질을 가누지 못하고 욕설이 난무하는 분노를 표출했다가 돌돔을 낚아 올리기 시작하니 콧노래를 부르는 미소천사가 되어 주변 분위기를 살핀다.

이처럼 방송이 시작된 지 4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진심이며 오히려 진정성의 온도는 높아지고 있다. 촬영장을 관조하는 너른 시야를 가진 이수근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 캐릭터 플레이가 아니라 실제 모습 그대로 카메라 앞에 선다. 시즌2 중반 가미된 캐릭터 쇼의 재미도 여전하다. 축하와 견제와 질투가 뒤섞인 전우애를 바탕으로 좀 더 버라이어티해진 골조까지 변함없다.

하지만 시즌3의 성적은 그리 좋지 못하다. 앞선 시리즈보다 평균적으로 시청률이나 선호도, 화제성 모두 떨어지고 있다. 진정성이 훼손되거나 지친 것도 아니고 아재방송의 정체성에 시청자들과 눈높이를 맞춘 주식 비유 등 온갖 인터넷 밈을 끌어안아 2030 남성세대까지 자극한다는 기본 정서는 여전히 지켜가고 있다. 하지만 이웃을 잘 못 만난 탓도 있겠고, 안 그래도 반복되는 볼거리인데 조황마저 그리 흥하지 않자 관심이 줄었다는 게 더 정확한 해석이다.

내부적으로도 제약이 더 많아진 상황에서 똑같은 방법으로 계속 성장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돌파구로 삼은 것도 방송을 넘어서 콘텐츠를 보다 자유롭게 풀어낼 수 있는 유튜브 채널이라는 새로운 미션을 부여했다. <도시어부>라는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IP전략이다. <도시어부>에서는 소기의 성과가 없음에도 제작진이 푸시하는 황충원 또한 <강철부대> 세계관을 유지하고 IP화하는 일환으로 보인다.

그래서일까. 유튜브의 동반 성공을 위한 전략인지는 알 수 없지만 아이돌의 출연 빈도가 높아지고 있고 일정이나 촬영 난이도가 비교적 용이한 민물낚시 또한 자주 등장한다. 하지만 고육지책 인해전술의 민물낚시는 스포츠 예능에 거꾸로 비유하자면 골프처럼 심심한 종목이다. 진정성이 발휘된다고 해도 볼거리에 대한 기대가 적고, 실제로 긴장감과 시청률이 같이 하락했다. “사람들 좀 그만 데려와요.”라는 이경규의 울부짖음에 동감한다.

모처럼 퍼펙트 팔로우미를 이룬 이번 주처럼 고기를 낚는 장면이 많이 나오면 그 자체만으로도 간접 체험의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 낚시를 즐기지 않는 시청자들도 좋은 분위기 속에서 다채로운 인간군상이 뿜어내는 이야기와 때때로 승부의 긴장까지 누릴 수 있다. 거장 이예준 PD의 막간코너도 좋고 나날이 솔직해져가는 이덕화와 그를 닮아 가는 이태곤, 그리고 이들을 바라보는 이수근과 김준현의 활약은 나무랄 데 없다. 촬영장의 바이브를 책임져온 이경규도 조금 힘을 더 내면 바랄 것 없다. 객원 멤버인 박진철 프로는 같이 플레이어로 활약하지만 역할이 조금 다르다. 축구 예능에서 2002년 월드컵 스타들처럼 그 자체가 콘텐츠다.

모두가 목표한 돌돔을 잡았을 때 비로소 행복해졌다. <도시어부>는 그런 프로그램이다. 시즌3은 현재 반등의 모멘텀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스포츠 예능에서 힌트를 가져올 수도 있다. 즉 키 하나는 <도시어부>의 태생과 근본과 볼거리라는 측면에서 박진철 프로가 쥐고 있는 셈이다.

칼럼니스트 김교석 mcwivern@naver.com

[사진=채널A]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