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식당’, 백종원이 요식업은 단지 음식 파는 게 아니라고 한 건

[엔터미디어=정덕현] 지난주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이 찾은 동작구 상도동 골목에서 하와이언 주먹밥집을 찾은 백종원은 음식을 앞에 두고 시식도 전에 못 먹겠다고 말해 그 이유에 대한 궁금증을 안긴 바 있다. 아마도 그건 그 날 지적됐던 사장님의 손님 접객 태도 때문이 아닐까 싶었다.

이번 주 방송에서 제시된 그 이유는 보다 구체적인 것들이었다. 백종원이 앉아서 상황실 대화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동안 둘러본 가게의 위생상태가 음식을 먹어보기를 꺼리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투명하게 요리를 하겠다는 뜻으로 만들어진 오픈 주방은 적나라하게 위생상태가 불결한 주방을 드러내보였다.

주방에 들어갈 필요도 없이 눈앞에 녹이 잔뜩 슬어버린 화구들이 눈에 띄었고, 한쪽 구석에는 방석이 뜬금없이 놓여 있었다. 또 눈에 보기에도 기름때가 얹어진 음식재료통과 국자가 보였다. 컵라면을 주문하면서도 백종원이 영 떨떠름해했던 이유도 드러났다. 물을 따라주는 포트에 기름때가 가득했던 것. 이러니 음식을 먹어보기도 전에 “못 먹겠다”는 말이 나온 것이었다.

이 집의 문제는 위생 같은 기본적인 것이 안 되어 있는 데다, 손님을 불편하게 하는 사장님의 접객 태도는 물론이고 음식 자체에도 있었다. 위생, 접객 태도, 음식이 다 문제라면 사실상 총체적 난국인 셈. 아무런 준비가 안 되어 있는 집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이 모든 문제들을 하나로 꿰뚫고 있는 건 사장님이 손님의 입장에서 보지 않았던 배려의 부족이었다. 늘 주방으로만 들어가서 홀로 들어온 손님들이 주방을 어떻게 볼 것인지를 알지 못했고, 자신의 속내는 다르지만 저도 모르게 툭툭 내뱉는 말투가 듣는 손님들에게 어떤 느낌으로 다가갈 지를 몰랐다. 이러니 내놓는 음식이 손님들에게 어떤 맛이나 느낌을 줄지 모르는 건 당연한 일이 아닐까.

1주일 만에 다시 찾아간 주먹밥집은 일주일 내내 청소를 한 덕에 보기에도 달라보였다. 하지만 백종원이 “청소하시면서 어땠어요?”라고 묻는 질문에 사장님은 “잘했구나 싶죠.”라고 다소 오해할 수도 있게 말을 내놨다. 그 답변에 황당해하는 백종원은 남들이 다 하는 걸 안 했던 거고 그걸 지적받아 이제 한 것에 대해 “잘했다” 말하는 게 어울리지 않는다는 걸 지적했다. 그제서야 사장님은 본인이 의도한 표현을 내놨다. “청소를 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죠.”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화법. 그건 손님들을 접객해야 하는 가게에서는 치명적인 문제일 수 있었다. 자기 생각만을 그냥 말하던 대로 말하는 습관이 아니라 자기가 어떻게 표현했을 때 손님은 어떻게 느낄 것인가를 미루어 말을 하는 훈련이 전혀 되어 있지 않았으니 말이다.

사실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감수성’이라는 단어가 회자된다. ‘인권 감수성’이니 ‘성인지 감수성’이니 하는 말들이 그것이다. 여기서 감수성은 그런데 쉽게 풀어 말하면 자신이 하는 말이나 행동이 타인에게 어떻게 느껴질 것인가를 알아차리는 태도다. 그런 점에서 보면 손님을 대하는 요식업은 사실상 이 감수성이 장사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라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사실 장사라는 게 음식을 판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라 음식 플러스 알파가 아니라 음식은 당연한 거고 알파가 커요. 감성 장사인데..” 지난주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에서 하와이언 주먹밥집을 찾은 백종원은 그렇게 말한 바 있다. 여기서 백종원이 말한 건 아마도 손님에 대한 감수성이 아닐까. 위생문제나 접객 그리고 음식까지 모두 손님의 눈높이에서 그들이 어떻게 느낄까를 염두에 둬야 풀어지는 문제일 테니 말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SBS]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