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백홈’ 집을 통한 소통과 청춘들에 대한 응원, 좋은 취지 살리려면

[엔터미디어=정덕현] KBS가 유재석의 새로운 예능 프로그램 <컴백홈>을 드디어 시작했다. 서태지의 ‘Come Back Home’BTS‘Come Back Home’ 그리고 2NE1‘Come Back Home’에 각각 맞춰 등장한 유재석, 이용진, 이영지는 그 노래가 환기하듯 이 프로그램이 세대와 무관하지 않다는 걸 전면에 내세웠다. 그 세대 중 <컴백홈>이 응원하고 나선 건 다름 아닌 청춘들이다.

<컴백홈>의 눈에 띄는 기획적 포인트는, 출연한 연예인이 과거 자신이 살았던 집을 찾아가 그곳에 현재 살고 있는 이와 소통한다는 대목이다. 집이라는 공간이 시대의 트렌드처럼 자리하게 된 요즘, <컴백홈> 역시 바로 그 집을 이 이야기의 구심점으로 가져왔다. 그 집을 통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고, 과거의 입주자와 현재의 입주자가 만나며, 연예인과 비연예인들이 만난다. 기획적으로는 나쁘지 않은 콘셉트다.

게다가 집과 더불어 청춘이라는 키워드 역시 프로그램을 응원하게 만드는 중요한 기획적 포인트다. 첫 번째로 마마무의 화사와 휘인이 출연해 그들이 연습생 시절 살았던 사당동 소재의 옥탑방을 찾아가 만난 최미소씨는, 대학생 때부터 서울살이를 시작한 경남 통영이 고향인 청춘으로, 그렇게 낯선 타지의 서울살이를 시작하는 청춘들의 입장을 잘 보여준다. 조금은 화려한 도시의 삶을 기대하고 올라온 서울살이. 늘 좋을 수만은 없지만 그래도 지는 해를 한없이 바라볼 수 있는 옥탑방에서 작은 꿈을 키워가는 청춘의 삶이 그것이다.

<컴백홈>은 과거 그 집에서 살았던 연예인들의 추억담이 한 부분을 차지하고, 현재 살고 있는 거주인의 이야기가 나머지 부분을 채워준다. 그리고 현재 거주인을 위한 일종의 힐링 프로젝트로서 인테리어 해주기 콘셉트가 적용됐다. 과거 <러브 하우스> 같은 프로그램에서 늘 해왔던 콘셉트지만, 여기에는 그 수혜자가 청춘이라는 지점이 조금 색다른 느낌을 준다. 최근 들어 젊은 세대들에게 이란 더 현실적이면서도 어떤 로망을 꿈꾸게 되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해피투게더>가 폐지된 후, 오랜만에 KBS컴백한 유재석의 예능답게 <컴백홈>은 굉장한 웃음이나 재미의 포인트를 찾아가기보다는 취지에 대한 공감이 큰 프로그램이다. 요즘처럼 예능 프로그램이 방송에 머물지 않고 실제 현실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까지를 기대하게 되는 방송 트렌드의 변화 속에서 <컴백홈>은 그 방향성을 잘 잡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나오는 우려의 지점은 이 프로그램이 해결해야할 숙제가 아닐까 싶다. 그건 대부분 세로 살고 있는 거주자들인지라, 집을 인테리어 해 놀라울 정도로 다른 공간을 연출해주곤 있지만, 그것이 방송에 출연했던 청춘들의 수혜로 이어질까 하는 우려다. 결국 이런 변신은 실제 집주인만 좋은 결과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집을 통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고, 그 곳에서 연예인들과 대화를 나누고 집도 고쳐주는 등의 청춘들을 위한 작은 위로가 펼쳐진다는 건 좋은 취지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런 프로그램의 방향성은 실제 집주인 역시 그 취지에 공감하고 동참하는 데까지 나가야 비로소 사회를 밝게 만들어내는 좋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단지 방송에서만 잠깐 행복한 장면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혹여나 향후 의외의 문제들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KBS]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