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부대’, 재미에 감동까지 잡은 특수부대 전투원들

[엔터미디어=소설가 박생강의 옆구리tv] <도시어부>에 이은 채널A 효자예능 <강철부대>는 특전사, 해병대수색대, 707 특수임무단, UDT, SDT, SSU의 기량을 볼 수 있는 예능이다. 여기에 국내 최고 특수부대의 시원시원한 실시간 전투게임을 지켜보는 듯한 짜릿함이 있다.

하지만 <강철부대>가 전투시뮬레이션에서 그쳤다면 이만큼 사랑받지는 못했을 것이다. 강하고 단순한 것은 쉽게 질리기 때문이다. <강철부대>에서 각 특수부대는 회차가 진행될수록 각기 독특한 개성을 보여준다. 배우 오종혁과 안태환이 포함된 해병대수색대는 첫 회에 탈락했지만 타이어 데스매치를 끝내고 눈물을 펑펑 쏟는다. 탈락은 했지만 <강철부대>의 첫 감동 드라마의 스타트를 끊는 데는 최고의 성공이었다.

한편 매번 데스매치에 이르는 젊은 SDT는 스스로를 자조적으로 스페셜 데스매치 팀이라 부르며 위로한다. 젊은 팀 특유의 유쾌함이다. 결국 이 팀은 두 번째로 탈락하지만 끝까지 믿고 의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707은 지략에 뛰어나지만 어딘가 얄미운 팀이라는 인식을 이고 간다. <강철부대>는 다른 경합 예능에 비해 빌런 캐릭터가 거의 없다. 단 707팀이 어느 수준 그 역할을 해준다. 이 외에 UDT와 특전사, SSU 또한 각 팀 특유의 분위기가 있다.

그리고 이 특수부대 안에 팀원들 역시 각각의 존재감을 만들어 간다. 그 존재감이 겹치는 것 하나 없는 게 또 신기하다. SSU의 ‘황장군’ 황충원과 UDT에 우수에 젖은 긴 머리 육준서처럼 극과 극의 매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여기에 회차가 진행될수록 황충원이 스윗한 모습을 보이거나 육준서가 조용한 허당의 모습을 보여주며 또 다른 재미 포인트를 쌓아간다.

각 팀에서 지략을 짜 작전을 만들어가는 캐릭터인 정종훈, SDT 김민수, 김범석, 이진봉, 박준우 역시 방식이 다르다. 707 이진봉의 냉철하고 전략적인 판단과 박준우의 긴 군생활에서 얻은 ‘짬’의 노하우가 다른 것처럼 말이다. 또한 연예인 출연자들이 있지만, 이들이 연예인이라고 돋보이지 않는 것도 <강철부대>의 묘미다. 연예인으로서의 존재감이 아닌 강철부대 내의 캐릭터로 빛을 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강철부대>는 지금까지 전투시뮬레이션 이상의 다채로운 재미를 쌓아갔다. 그리고 시원함이 아니라 감동의 순간을 연출하기도 한다. 아마도 감동 포인트는 7회와 8회에서 정점을 찍었을 것이다. 산악 행군 데스매치에서 이정민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미션을 수행한 SDT. 그리고 마지막 지점에서 이들을 모두 도와준 다른 부대원들의 모습은 그 자체로 뜨거운 전우애의 분위기를 자아냈다.

UDT와 특전사가 보여준 진흙탕 속 타이어격투 또한 <강철부대>의 정점이었다. UDT의 김상욱은 직접 타이어격투에 자원한다. 스스로 그 동안 팀에 큰 도움이 된 적이 없었다며, 다른 팀원들 물 한 방울 묻히지 않게 만들겠다는 식의 선언까지 한다. 아니, 드라마에서 프러포즈할 때나 나올 말이 <강철부대>에서 이렇게 변주되다니. 김상욱은 괴력을 보여주며 특유의 지략으로 진흙탕 싸움에서 SSU를 단숨에 제압했던 특전사를 위기에 몰아넣는다. 박준우를 제외한 모든 팀원들이 김상욱의 괴력 앞에 무너졌던 것이다.

그리고 드디어 김상욱과 박준우의 타이어격투였다. 힘과 지략의 대결은 팽팽했다. 박준우는 힘으로 밀리는 대신 온몸의 반동을 이용해서 지친 김상욱을 혼란에 빠뜨렸다. 결국 승기가 박준우에게 끌려오는 사이, 흥분한 김상욱이 몸으로 박준우를 제압한다. 결국 박준우가 항의를 하고 이에 경기는 중단된다. 결국 두 선수 사이에 팽팽한 긴장이 흐르고 분위기는 험악해진다.

그 순간에 박준우가 갑자기 ‘믹스커피 맛있다’라고 외친다. 일순간에 모두가 어안이 벙벙한 사이, 박준우는 흙탕물로 입을 가신다. 냉랭한 분위기에서 웃음보가 터지고, 이어 김상욱도 흙탕물 믹스커피로 입을 가신다.

결국 타이어격투의 승리는 김상욱이 가져갔다. 하지만 박준우이자 트로트가수 박군이 패자가 아닌 분위기를 바꾼 최고의 지략가이자, 분위기메이커로 도장을 찍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그 순간 <강철부대> 제작진은 이 프로그램의 입소문을 기대하고 막방 10%의 시청률을 상상하며 흐뭇하게 미소 지었을지도 모르겠다. 재미와 감동, 여기에 입소문까지 더해지면 시청률의 신이 접신하기 마련이다.

칼럼니스트 박생강 pillgoo9@gmail.com

[사진=채널A]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